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세계/미얀마,라오스

[미얀마 헤호] 인레호숫가에 자리한 숙소에... [미얀마 헤호] 인레호숫가에 자리한 숙소에... 사고 현장의 충격을 뒤로 하고 인레호수로 향하였다. 한 시간 정도를 가야 한단다. 도로 사정은 그리 좋질 못했다. 카톡도 안 되고 문자 메시지도 안 되고 전화도 안 되니 내내 한국의 가족들 걱정이 자리하고 있다. 여행하면서 이렇게 답답해.. 더보기
[미얀마 헤호] 아찔했던 항공 사고의 현장을 보다... [미얀마 헤호] 아찔했던 항공 사고의 현장을 보다... 2012.12.25(화) 오늘은 미얀마의 인레호수 지역으로 간다. 이곳은 미얀마의 수많은 소수민족 중 꽤 많은 종족이 사는 지역이라 내심 기대되는 곳이었다. 호텔에서 만달레이 공항까지 1시간 정도 가야 되고 미리 도착해서 기다려야 하니 새.. 더보기
[미얀마 만달레이] 기타 풍경들 [미얀마 만달레이] 기타 풍경들 만달레이 시내를 오가며 차 안에서 찍은 거리 풍경들... 후진국이라는 느낌이 확 오는 모습들이어서 마음이 무겁다. 출가 중인 스님들의 여유로운 한 때 불상 제조소에 들렀을 때 본 모습 금박 제조장에서 본 모습 만달레이에서 하룻밤을 보낸 후 다음 날엔 .. 더보기
[미얀마 만달레이] 만달레이 왕궁 앞의 저녁 풍경 [미얀마 만달레이] 만달레이 왕궁 앞의 저녁 풍경 저녁 식사를 하러 가는 길에 잠시 왕궁 앞에 내렸다. 왕궁을 둘러싼 해자와 어둠이 내린 저녁 풍경이 볼만하다. 만달레이 왕궁은 1853년 민돈왕에 의해 지어졌으며 114개의 건물의 복합체란다. 길이 306m로, 폭 167m의 초석 위에 지어졌다고 하.. 더보기
[미얀마 만달레이] 다시 이라와디강을 건너... [미얀마 만달레이] 다시 이라와디강을 건너... 민군 일정을 끝내고 다시 만달레이로 간다. 오늘 밤을 만달레이에서 보내고 다음 날에는 인레호수를 만나러 헤호로 갈 예정이다. 해가 내려앉고 있는 이라와디강... 유람선 관리인인 미얀마 청년이 뱃머리를 지키고 섰다. 여유로워 보이는 사.. 더보기
[미얀마 민군] 미얀마 4대 고대도시라는 민군 4 - 신쀼미 파고다 [미얀마 민군] 미얀마 4대 고대도시라는 민군 4 - 신쀼미 파고다 1826년 바지도 왕이 왕자 시절의 첫 부인인 신쀼미 공주를 기리기 위해 지었다고 하며, 흰 코끼리라는 의미를 가진 파고다라고 한다. 신쀼미 파고다는 7층의 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물결 무늬와 층은 바다와 산을 상징한다고 .. 더보기
[미얀마 민군] 미얀마 4대 고대도시라는 민군 3 - 민군 종 [미얀마 민군] 미얀마 4대 고대도시라는 민군 3 - 민군 종 나의 수행비서는 '민군종', '민군종'을 몇 번이고 읊는다. 도중에 '언니, 이뻐요.' 도 한 박자 들어가고... 대답으로 알았다고 고개를 끄덕이며 '오케이~'. 나도 '언니도 이뻐요.'를 추가로 넣어주고... 외관. 무게 약 90톤, 종의 둘레 5미.. 더보기
[미얀마 민군] 미얀마 4대 고대도시라는 민군 2 - 민군 기념관 [미얀마 민군] 미얀마 4대 고대도시라는 민군 2 - 민군 기념관 민군 스님을 기념하기 위한 곳이다. 민군 스님은 구전되어온 16만여 자의 부처님의 경전을 글자 한 자 틀리지 않고 다 외웠다고 하니 놀라울 따름이다. 기네스북에 올라갔다나...... 2012.12.24(월) 더보기
[미얀마 민군] 미얀마 4대 고대도시라는 민군 1 - 민군 파고다 [미얀마 민군] 미얀마 4대 고대도시라는 민군 1 - 민군 파고다 거대한 불사의 흔적... 민군 파고다(The Great Pagoda Pahtodawgyi) 민군에 도착하여 배에서 나를 찍은 수행비서와 함께 이동하는 중이다. 그녀는 자꾸만 '언니, 이뻐요,'를 외쳐댄다. 그 소리가 내 나이에 걸맞지 않기에 간지럽다. 여기.. 더보기
[미얀마 민군] 이라와디강을 가로질러 민군(Mingun)으로... [미얀마 민군] 민군은 만달레이 북서쪽으로 약 12Km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미얀마의 4대 고대도시. 이라와디강의 서쪽 건너편, 사가잉 위쪽에 위치해 있는 섬. 불교사원, 수도원, 기념탑 등이 많으며, 민군 종과 미완성 민군 파고다가 민군을 대표할 정도의 문화유산. 만달레이에서 이라.. 더보기
[미얀마 만달레이] 중국식으로 점심을 먹고, 과일 가게에 들렀다. [미얀마 만달레이] 중국식으로 점심을 먹고, 과일 가게에 들렀다. 점심을 먹은 곳, 골든 덕 레스토랑. 남쪽인지 정확하지는 않지만 왕궁 앞에 있는 음식점이었다. 바간에선 미얀마 맥주를, 이곳에선 만달레이 맥주를... 점심을 먹고 박으로 나오니 꽃장식을 한 차가 보였다. 아마도 결혼을 .. 더보기
[미얀마] 미얀마 어린이들의 단기 출가 의식인 신쀼 [미얀마] 미얀마 어린이들의 단기 출가 의식인 신쀼 미얀마의 불교는 종교가 아니라 생활 자체라고들 한다. 다섯 살이 되면 사원 부속 유치원에 들어가 불교 예법과 생활 규범을 배우고, 열 살 무렵에는 신쀼 의식을 통해 처음으로 불교도로서 인정받게 된다고 한다. 신쀼 의식을 행할 때 .. 더보기
[미얀마 만달레이] 4톤의 황금불상을 모시고 있는 마하무니 파고다 [미얀마 만달레이] 4톤의 황금불상을 모시고 있는 마하무니 파고다 아마라뿌라에서 만달레이 시내로 들어왔다. 마하무니 파고다는 만달레이에서 가장 크고 화려한 4톤의 황금불상을 모시고 있는 곳으로, 불상에 얇은 금딱지를 붙이면서 소원을 빌기도 하는 곳이다. 우리가 갔을 때도 많은.. 더보기
[미얀마 만달레이] 길이가 1.2km나 되는 아마라푸라의 우베인(우뻬인) 나무 다리 [미얀마 만달레이] 길이가 1.2km나 되는 아마라푸라의 우베인(우뻬인) 나무 다리 (U Bein Bridge) 우베인다리는 만달레이 아마라푸라 지역에 있는 타웅타만호수를 가로지르는, 길이 1.2km의 티크나무로 만들어진 다리입니다. 건기에는 바닥까지 말라서 다리 밑부분까지 드러나게 된다는군요. 그.. 더보기
[미얀마 만달레이] 승가의 도시 아마라푸라의 마하간다용 수도원 [미얀마 만달레이] 승가의 도시 아마라푸라의 마하간다용 수도원 만달레이 공항에서 아마라푸라로 향하였습니다. 먼저 마하간다용 수도원에 들를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마하간다용 수도원은 만달레이 인근 아마라푸라에 위치하고 있는 미얀마 최대의 수도원으로 1000여 명의 수도승들이 .. 더보기
[미얀마 만달레이] 미얀마 불멸의 심장이라는 만달레이에... [미얀마 만달레이] 미얀마 불멸의 심장이라는 만달레이에... 아침 5시에 모닝콜이 있었고 5:40에 식사를 한 후 6:30 공항으로 출발. 7:35 비행기라 하였지만 비행기가 떠야 출발하는 것이니 고무줄같은 미얀마의 항공 사정은 믿을 수가 없다고 합니다. 7:35 비행기라더니 결국 8시가 되어서야 .. 더보기
[미얀마 바간] 석양 무렵, 이라와디 강변에서 저녁 식사를... [미얀마 바간] 석양 무렵, 이라와디 강변에서 저녁 식사를... 30분간의 마차투어가 끝나고 강변 레스토랑에 도착하였습니다. 물티슈로 발을 다시 닦고... 신발을 신고... 혹독하게 발고생을 했네요. 해는 뉘엿뉘엿 산 너머로 지고 있었습니다. 석양 풍경이 그럴싸하네요. 미얀마의 젖줄이라.. 더보기
[미얀마 바간] 마차를 타고 이라와디 강변까지... [미얀마 바간] 마차를 타고 이라와디 강변까지... 쉐산도 파고다 앞에서 마차를 빌려 탔습니다. 이곳에서 저녁 식사 하는 곳까지 약 30분을 타게 된다고 합니다. 현지에서 흥정해서 타면 더 가벼운 값으로 탈 수 있었을 것 같은데, 우리는 패키지여행이었으므로 아무래도 더 비싼 값에 탄 .. 더보기
[미얀마 바간] 1000년 역사를 간직한 고대 도시 바간의 사원과 탑들을 만나다 - 쉐산도 사원 [미얀마 바간] 1000년 역사를 간직한 고대 도시 바간의 사원과 탑들을 만나다 - 쉐산도 파고다 2012.12.23(일) 부파야에서 나와 바간에서 가장 높이 솟은 불탑 중 하나인 쉐산도 파고다로 향합니다. 이곳도 아노라타왕에 의해 건립된 파고다라고 합니다. 아노라타왕이 타톤을 정복한 후 웅장한.. 더보기
[미얀마 바간] 1000년 역사를 간직한 고대 도시 바간의 사원과 탑들을 만나다 - 부파야 파고다 [미얀마 바간] 1000년 역사를 간직한 고대 도시 바간의 사원과 탑들을 만나다 - 부파야 파고다 2012.12.23(일) 부파야 파고다는 이라와디 강 어귀에 우뚝 자리잡고 있으며 바간 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파고다라고 합니다. 입구 표지판에 보니 AD 300이라고 씌어 있습니다. 1700여 년의 역사를 간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