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랑, 그 흔적들-국내/부산 대구 경상 썸네일형 리스트형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5 - 오미자테마터널 오미자테마터널 지난 2월 15일에 다녀온 문경 버스여행 점빵길투어 이야기~돌아본 곳들은 문경새재 옛길박물관 -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 점촌점빵길- 점심(청기와감자탕) - 오미자테마터널 - 봉명산 출렁다리.그 중 오늘은 오미자테마터널 포스팅입니다. 진남휴게소에 차를 대고 오미자 테마터널로 향합니다.영강가의 진남교반 유원지입니다. 오정산 등산안내, 진남교반 일원, 고모산성, 토끼비리가 안내되어 있습니다.문경 오미자 테마터널은 고모산성 아래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문경 오미자 테마터널1954년 건설된 석현터널은점촌과 문경 사이를 석탄을 실어 운반했던 문경선 내 터널로장기간 방치되어 있었는데오미자테마터널로 재탄생.총 길이 540m.터널 내 평균 온도는 15~18도.문경 특산물인 오미자와 도자기 등 홍보 .. 더보기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4 - 점촌점빵길 / 청기와감자탕 문경 점촌점빵길 일부 구간 지난 2월 15일에 다녀온 문경 버스여행 점빵길투어 이야기~돌아본 곳들은 문경새재 옛길박물관 -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 점촌점빵길- 점심(청기와감자탕) - 오미자테마터널 - 봉명산 출렁다리.그 중 오늘은 점촌점빵길 - 점심(청기와감자탕) 포스팅입니다. 점빵은 작은 규모로 물건 파는 집, 가게를 말합니다.예전에는 작은 가게인 점방(가게점店 방방房)을 점빵이라 불렀습니다.소리나는대로 부르니 점빵이 되었지요. 점촌점빵길'점촌점빵길'은 문경시 점촌 원도심 복합상권을 통칭합니다.문경중앙시장, 행복상점가, 점촌역전상점가로 나뉘어져 있습니다.2021년부터 5년간 상권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원도심 관광자원화를 목적으로점촌상권이 제일 부흥했던 1970~1980년대의 상권회복을 통해점촌 고유.. 더보기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3 - 문경새재도립공원 / 드라마와 영화 촬영 명소,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지난 2월 15일에 다녀온 문경 버스여행 점빵길투어 이야기~돌아본 곳들은 문경새재 옛길박물관 -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 점촌점빵길- 점심(청기와감자탕) - 오미자테마터널 - 봉명산 출렁다리.그 중 문경새재도립공원의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포스팅입니다. 주차장에서 옛길박물관 앞을 지나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으로 향합니다.문경새재는 몇 번 다녀온 곳이기도 하고 이번에는 1시간이라는 짧은 시간이라 문경새재 오픈세트장까지만 얼른 다녀오기로 합니다. 옛길박물관 옆에 문경새재 안내 설명이 있어 담아봅니다.문경새재는 조선의 옛길을 대표하는 관도로영남에서 한양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이며과거를 보러가는 선비들이 주로 이용하였습니다.에는 '풀(억새)이 우거진 고개'라는 뜻의 '초점(草岾)'으로,에는 '새들.. 더보기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2 - 문경 신상 핫플, 짧지만 강렬한 봉명산 출렁다리 지난 2월 15일에 다녀온 문경 버스여행 점빵길투어 이야기입니다.돌아본 곳들은 문경새재 옛길박물관 -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 점촌점빵길 - 점심(청기와감자탕) - 오미자테마터널 - 봉명산 출렁다리.그 중 봉명산 출렁다리 포스팅입니다. 봉명산 출렁다리* 길이 160m, 보행 폭 1.5m의 현수교.* 최대높이 33m.* 2023년 말에 개장한 출렁다리.* 경북 문경시 문경읍 마원리 산 49에 위치. 앞으로 신북천, 산 위에 관산정이 보입니다.신북천을 따라 왼쪽으로 더 걸으면 산 위에 걸쳐진 봉명산 출렁다리가 보일 것 같은데,일행이 같이 움직이는 상황이라 가 보지 못 했네요. 봉명산 출렁다리는 더본외식산업개발원 문경센터(백종원 요리 연구소)를 찾으면 쉽게 진입할 수 있습니다.산 아래의 흰색 건물이 연구소.. 더보기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1 - 문경새재도립공원 / 옛길박물관 지난 2월 15일에 다녀온 문경 버스여행 이야기입니다.1월 청양-공주 버스여행에 이어 2월에도 버스여행을 했네요.운전을 안 해도 된다는 편안함에 따라나선 길입니다.돌아본 곳들은 문경새재 옛길박물관 -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 점촌점빵길- 점심(청기와감자탕) - 오미자테마터널 - 봉명산출렁다리. 첫 코스로 들렀던 문경새재도립공원~짧은 시간이라 옛길박물관 잠시 들르고 오픈세트장도 잠시 돌아보았답니다. 문경새재 옛길박물관입니다. 옛길박물관 위치는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44 (문경읍 상초리 244) 옛길박물관문경은 우리나라 문화지리의 보고(寶庫)이자 길 박물관입니다.조선시대 역사와 문화의 소통로(疏通路)로서조선팔도 고갯길의 대명사로 불리던 ‘문경새재’(명승 제32호)가 있고,우리나라 최고(最古, 서.. 더보기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7 - 정선 필 해악전신첩 (鄭敾 筆 海嶽傳神帖) 현재 대구간송미술관에서는 개관기념 전시로 '여세동보(與世同寶)'전이 열리고 있다.그러고 보니 오늘이 마지막 날이네.이 전시에는 우리나라의 국보와 보물 40건 97점이 전시되고 있으며전시 기간은 2024.09.03.~12.01.간송 전형필 선생이 지켜낸 귀한 문화재들을 만나는 기쁨을 누려본다. 제 1전시실에서 정선의 작품들을 만났다.정선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그의 작품 몇 점을 올려본다. 정선 (1676~1759)조선 후기의 화가. 본관은 광주, 자는 원백(元伯), 호는 겸재(謙齋), 난곡(蘭谷). 한국 고유의 화풍인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개척했고, 뛰어난 진경산수화가로서 이름을 날렸다. 진경산수화는 실제 경치를 그대로 그리는 것(실경산수화)이 아니라 경치를 실제로 본 뒤에 생략, 축소, 부각.. 더보기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6 - 긍재전신첩(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 金得臣 筆 風俗圖 畵帖) 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 중 '야묘도추' (국가유산청 자료) 현재 대구간송미술관에서는 개관기념 전시로 '여세동보(與世同寶)'전이 열리고 있다.이 전시에는 우리나라의 국보와 보물 40건 97점이 전시되고 있으며전시 기간은 2024.09.03.~12.01.간송 전형필 선생이 지켜낸 귀한 문화재들을 만나는 기쁨을 누려본다. 대구간송미술관 1전시실 가운데에는긍재 김득신의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었다.사람들 틈바구니에서 차례로 돌아가며 보았는데,사진 찍기가 여의치 않았다. 김득신( 金得臣, 1754~1822)조선 후기의 화가.본관은 개성(開城), 자는 현보(賢輔), 호는 긍재(兢齋).조선 후기 대표적인 직업화가(畵員) 가문 출신.김홍도, 신윤복과 함께 조선 3대 풍속화가.대표작 : '파적도(破寂圖)', '긍재풍.. 더보기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5 - 훈민정음(훈민정음 해례본): 소리로 지은 집 현재 대구간송미술관에서는 개관기념 전시로 '여세동보(與世同寶)'전이 열리고 있다.이 전시에는 우리나라의 국보와 보물 40건 97점이 전시되고 있으며전시 기간은 2024.09.03.~12.01.간송 전형필 선생이 지켜낸 귀한 문화재들을 만나는 기쁨을 누려본다. 3전시실에는 훈민정음 해례본과 현대미술 프로젝트가 함께하는 전시가 열리고 있다.'훈민정음 해례본: 소리로 지은 집' 전시를 보며 세종의 애민정신과 한글의 우수성을 느껴 보자.국보와 보물 전시는 2024.12.01.까지,현대미술 프로젝트는 2025.05.25.까지 열린다. 3 전시실 입구와 출구 '훈민정음 해례본: 소리로 지은 집' 전시'해례본 길' 작품.여기서는 소리를 들려줄 수 없어 아쉽다. 훈민정음 (訓民正音)대한민국 국보 이 책은.. 더보기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4 - 김홍도 필(金弘道 筆)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 과로도기도(果老倒騎圖), 마상청앵도(馬上聽鶯圖) 김홍도 필 중 '무이귀도' 일부 대구간송미술관 개관기념 국보·보물전인 여세동보~오늘은 그 유명한 김홍도의 작품들이다.김홍도에 대한 인물 자료도 함께 올려 본다. 김홍도 (金弘道, 1745~1806?)조선 후기의 풍속 화가이다.본관은 김해, 자는 사능(士能),호는 단원(檀園)·단구(丹邱)·서호(西湖)·고면거사(高眠居士) 등.경기도 안산시 단원구는 그의 호 단원을 따온 이름이다. 산수화, 풍속화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화가였지만고사인물화 및 신선도, 화조화, 불화 등모든 분야에서 독창적인 회화를 구축한 화가이기도 하다.주로 어명·고관의 명, 양반의 청탁을 받아 그림을 그렸지만,일반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그린 풍속화가로 우리에게 주목받고 있다.또한 그는 그림만 그린 것은 아니고,시도 써서 아들 김양기가 .. 더보기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3 - 심사정 필 촉잔도권 (沈師正 筆 蜀棧圖卷) 심사정 필 촉잔도권 (沈師正 筆 蜀棧圖卷) - 국가유산청 자료 제 1전시실에서 특이할만한 작품 중 하나가 ‘심사정 필 촉잔도권’이다.그 길이가 8m가 넘는 대작이다. 심사정(沈師正, 1707~1769)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이숙(頤叔), 호는 현재(玄齋), 묵선(墨禪).어린 시절 겸재 정선에게 그림 사사.대표작 : 강상야박도(江上夜泊圖)>, , 등.1768년에 그린 는 심사정의 마지막 작품으로8m 18cm 장폭 두루마기 대작.18세기에 유행한 화풍 중 본래 중국화풍이던 남종문인화풍이심사정에 의해 토착화되어 조선 화단에 뿌리내렸다. ‘심사정 필 촉잔도권’국가유산 : 보물18세기 대표적인 문인화가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1707~1769)이 죽기 1년 전인1768년 8월에 이백(李白)의 시.. 더보기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2 - 신윤복 필 미인도 (申潤福 筆 美人圖) 신윤복 일부(방문: 2024.10.15.화) 서울 성북동의 간송미술관을 방문한 적이 있었다.서울 간송미술관은 일부 개관일에 한해 방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이제는 대구분관이 간송미술관의 상설 전시관 역할을 하게 되었다니일반인이 더 쉽게 접할 수 있는 공간이 생긴 것 같다. 현재 대구간송미술관에서는 개관기념 전시로 '여세동보(與世同寶)' 전이 열리고 있다.'여세동보(與世同寶)'는 서울 간송미술관 보화각 머릿돌에 새겨진 오세창의 글귀로'세상 함께 보배 삼아'라는 뜻.대구 갈 일이 있어 간 김에 귀한 전시를 만날 수 있었다. 대구간송미술관 개관기념 국보·보물전 '여세동보' 중신윤복의 부터 올려본다.신윤복의 는 2 전시실에서 볼 수 있다.주말이나 휴일에는 엄청난 인파로 인해 길게 줄을 서서 기다려야 .. 더보기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1 - 대구간송미술관에 가다 대구간송미술관(방문: 2024.10.15.화) 대구간송미술관간송미술관 대구분관.간송미술관 최초의 지역 분관.2016년 대구간송미술관 건립·운영에 대한 계약을 체결, 미술관 설립을 추진,2022년 1월 착공,2024년 9월 3일 개관.간송미술문화재단이 보유하고 있는 국ㆍ보물, 문화유산 등을 상설 전시하는 공간.일제 강점기에 우리 문화재들이 해외로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헌신하고,보화각(現 간송미술관)을 설립해 문화재를 모으고,우리 민족의 얼과 혼을 지켜낸 간송 전형필 선생의 문화보국(文化保國) 정신을대구간송미술관에서 새롭게 이어나갈 것이란다. 전시실 1에서는 서화 및 전적이 전시된다. 신윤복의 혜원전신첩, 김홍도와 김득신, 심사정, 정선의 작품과동국정운,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전시.전시실 2에서는 신윤복.. 더보기 [대구 달성] 강정고령보 / 디아크문화관 / 석정 시골묵집 강정고령보 디아크 문화관(2024.10.14.월) 친정엄마 생신 때 내려간 김에 돌아본 곳 중 하나인 강정고령보와 디아크~부모님 모시고 강정으로 식사하러 가거나사문진나루에서 유람선을 타고 가며 바라보거나 한 적은 있지만직접 찾은 건 처음이다. 강정고령보 4대강 정비 사업으로 건설된 낙동강의 보이자 교량. 전국 16개의 보 중 가장 길다.보 중간에 탄주대와 친수시설인 낙락섬이 조성되어 있다.탄주대는 가야 토기와 가야금을 형상화한 전망데크로서 다리 한가운데 자리 잡고 있다.낙락섬은 대구 달성군의 첨단 과학과 9개 읍, 면을 나타내는 톱니바퀴 형상의 아름다운 인공섬으로물을 체험하고 즐길 수 있다.이뿐만 아니라 이곳에 조성된 건축물 디아크는세계적인 건축설계자 '하니 라시드'가 강과 물, 자연을 모티브로 구.. 더보기 [대구 북구] 하중도(금호꽃섬) <2024 대구정원박람회> 2024 대구정원박람회, 하중도(금호꽃섬)에서...(2024.10.14.월) 친정엄마 생신 때 내려간 김에 들렀던 금호꽃섬~봄가을이면 꽃으로 가득 장식되는 하중도인데,이번에 ( 2024.10.11~10.15 )가 열린다고 하여박람회 기간 중인 10.14(월)에 잠시 들르게 되었다. 2024 대구정원박람회* 주제: '파워풀 대구에서 펼쳐지는 대한민국 정원 르네상스'* 내용: 정원산업전, 정원페스티벌, 각종 이벤트, 참여정원 등.학생, 시민, 기업, 가족이 조성하는 참여정원을 지난해보다 확대하여대구광역시 구·군테마정원 7개소, 시민정원사정원 9개소,사전행사로 진행되는 우리 가족정원 40개소 등 108개소 정원 전시.정원산업전에서는 40여개 업체에서 희귀 식물, 최신 원예품종과 트렌디한 정원용품 전시·판매.. 더보기 [경남 합천] 허굴산 천불천탑 관음성지 허굴산 천불천탑 관음성지 입구(2024.10.16. 수) 황매산 인근에 천불천탑 관음성지가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시간적으로 좀 부족한 감은 들었지만돌탑군의 신비를 조금이나마 느끼려고 가 보았다. 처음 큰 도로에서 진입하는 길은 엄청나게 가팔라서차로 오르는게 무서울 정도다. 무서운 마음도 잠시 가파른 길을 올라서면 시멘트 포장길 양 옆으로 돌탑들이 보이기 시작한다.용 모습의 돌탑명상길이란다.하늘에서 보면 용모습으로 보인다는 이야기...돌탑명상길 입구 가장 아래 주차장에 차를 대고 걸어가본다. 5분 정도 용모습 돌탑길을 따라 올라가면 유료 구간 입구가 나온다. 천불천탑천불천탑은 합천 황매산 자락의 허굴산에 위치하고 있다.용탑스님이 선사·고대시대 기도한 용바위에서 관세음보살님을 친견한 후천불천탑의 .. 더보기 [경남 합천] 은빛 물결 억새 천국, 황매산 황매산 억새(2024.10.16.수) 신소양체육공원을 나와 황매산으로 향했다봄에는 철쭉의 향연이 펼쳐지는 곳이고가을에는 억새 물결이 황홀하게 펼쳐지는 곳이다.10.5~13까지 축제 기간이었던 모양인데,그 때는 시간을 낼 수 없었고 그 며칠 후에......봄 철쭉만큼이나 인상적인 황매산 억새~그 은빛 물결 속으로! 가운데 A코스인 억새 가득한 속길로 다녀와야지 했는데,돌다 보니 더 외곽인 B코스로 돌아보게 되었네.운 좋게 정상주차장에 차를 댈 수 있었고,코스는 관광휴게소 - 철쭉제단 - 하늘계단 - 산불감시초소(전망데크) - 황매산성 - 별빛언덕 - 관광휴게소 하늘계단쪽으로 올라왔다.저만치 아래로 관광휴게소가 바라보인다.축제기간은 지났지만 영업 중인 포차가 있었다.하산길에 이용... 산불감시초소(.. 더보기 [경남 합천] 핑크뮬리 명소, 황강신소양체육공원 합천 황강신소양체육공원 핑크뮬리(2024.10.16. 화) 10월 중순에 친정 엄마 생신에 맞춰 대구에 내려가면서 몇 곳을 들렀고올라오는 길에도 몇 곳을 들렀었다.그 중 한 곳인 합천 신소양체육공원~핑크뮬리 명소로 이름난지 꽤 되었지만 그동안 시간을 맞추지 못 했었는데,이번에 드디어 찾게 되었다. 과연 핑크뮬리 명소답게 넓은 지역에 핑크뮬리를 가꾸어 놓았네.따로 설명이 필요없어 사진만 나열해본다. 더보기 [경북 문경] 문경새재 (영남제3관 조령관~동화원휴게소) 올해 6월 23~24일에 다녀온 괴산-문경새재-충주 나들이~* 제1일(6.23.일) : 괴산 산막이옛길(연하협구름다리) - (점심) 짚은목맛집 - (차) 한옥정원숲 - 초원의집 - 수옥폭포 - 숙소(조령산자연휴양림)* 제2일(6.24.월) : 괴산 연풍새재 백두대간 조령공원 - 문경새재(조령3관문~동화원휴게소) - (간식) 조령3관문 휴게소 - 충주 수안보 - (점심) 게으른악어 - 악어섬과 악어봉 - 비내섬 - 귀가오늘 포스팅은 문경새재(조령관~동화원휴게소)입니다. 연풍새재에서 조령관 아래 오른쪽으로 난 길을 따라 걸으면 조령산성이 끊어져 있고'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이라는 안내판을 만납니다.이제부터는 문경새재가 되겠네요.여기 제3관문에서 동화원휴게소까지만 조금만 걸어 볼까 합니다. 조령산성.. 더보기 [경북 의성] 조문국사적지, 의성 금성면 고분군 (義城 金城面 古墳群) 올라오는 날, 엄마와 헤어져 시댁 산소로 향합니다.시부모님과 조상님들께 어버이날 기념 참배를 하고풀도 좀 뽑았습니다.조금이나마 깨끗해진 모습입니다.시어머님 돌아가신 후 전체 산소를 모았으니 관리 업체에서 올해는 잔디를 더 보충해주겠지요.한 번 가시면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머나먼 길~꽃길이길 빌어 봅니다.(2024.05.09.목) 귀경길에 조문국사적지에 들르기로 합니다.전날 매원마을에서 절정의 작약꽃을 보았기에조문국사적지에도 피었기를 기대하며~~~ 조문국사적지 의성 금성면 고분군 (義城 金城面 古墳群) 5~6세기경에 조성된 대규모의 고총고분으로 의성지역만의 독특한 문화를 향유하고 있어 이 지역의 독자적 문화를 밝힐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유적임과 동시에, 묘제와 출토유물 양상을 볼 때 신라의 지방지.. 더보기 [경북 칠곡] 매원마을, 그리고 작약꽃밭 매원마을 작약 (2024.05.08. 수) 어버이날을 맞이하여 친정어머님을 뵈러 내려갔습니다.언제 어느 때 떠나실지 모르니 행사는 꼭 챙겨야겠지요.엄마와 함께 떡, 과일, 술 챙겨서 아버님 산소를 찾아뵌 후나들이차 매원마을에 들렀습니다. 칠곡 매원마을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과 함께조선시대 영남 3대 반촌마을로 전해오는 유서 깊은 마을입니다.전에도 들른 적이 있고,지난해에도 들렀던 매원마을입니다.지난 사진 몇 장 올려 봅니다.칠곡 매원마을 이번에는 혹시라도 붉은 찔레꽃이 피었나 싶어서 갔었는데,흰 찔레꽃은 피었지만 붉은 찔레꽃은 아직 안 피었네요.5월 말경이라야 절정일 것 같군요.대신 동네의 집들 담장 아래에 수줍게 피어난 분홍낮달맞이꽃이 반가웠지요.작약밭에서는 절정의 작약꽃을 만날 수 있었습니.. 더보기 이전 1 2 3 4 ··· 30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