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구간송미술관에서는 개관기념 전시로 '여세동보(與世同寶)'전이 열리고 있다.
그러고 보니 오늘이 마지막 날이네.
이 전시에는 우리나라의 국보와 보물 40건 97점이 전시되고 있으며
전시 기간은 2024.09.03.~12.01.
간송 전형필 선생이 지켜낸 귀한 문화재들을 만나는 기쁨을 누려본다.
제 1전시실에서 정선의 <해악전신첩> 작품들을 만났다.
정선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
그의 작품 몇 점을 올려본다.
정선 (1676~1759)
조선 후기의 화가.
본관은 광주, 자는 원백(元伯), 호는 겸재(謙齋), 난곡(蘭谷).
한국 고유의 화풍인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를 개척했고,
뛰어난 진경산수화가로서 이름을 날렸다.
진경산수화는 실제 경치를 그대로 그리는 것(실경산수화)이 아니라
경치를 실제로 본 뒤에 생략, 축소, 부각 등을 적절히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는 사람의 생각과 철학을 담아내어 그리는 것.
주요 작품 : 〈금강전도〉 , 〈인왕제색도〉, 〈박연폭포〉, 〈경교명승첩〉 등
정선 필 해악전신첩 (鄭敾 筆 海嶽傳神帖)
국가유산 종목 : 보물
정선(鄭敾, 1676-1759) 특유의 다양한 필묵법과
옅은 청록색의 선염법이 고른 수준으로 능숙하게 구사되어
금강산의 진면모를 유감없이 드러낸 대표작이다.
정선이 72세가 되는 1747년에 그린 만년작으로,
노년의 무르익은 필치가 집약되어 있어서
금강산 그림 중에서 독보적인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총 38폭 중 산수화가 21폭,
나머지는 제목, 서문, 시문, 발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마다 당대의 명사인 김창흡(金昌翕, 1653-1722)과
이병연(李秉淵, 1671-1751)의 시가 수록되어 있고
장첩 경위를 알 수 있는 서발문까지 갖추어진 화첩으로서
완전성 면에서도 가치를 부여할만하다.
(국가유산청 자료)
정선 필 해악전신첩 (鄭敾 筆 海嶽傳神帖) 중 '해산정(海山亭)'
해산정은 해금강의 명승지인 고성에 있는 정자다.
오른쪽 약간 높은 위치에 해산정을 두고
그 아래 숲이나 안개 속에 파묻힌 여러 경물을 배치했으며,
주변으로는 바위 봉우리와 흙산이 둘러싸고 있다.
마치 정자가 주인공이 되어
주변의 넓은 풍경을 조망하는 듯한 모습이다.
이런 구성과 배치는
<삼승조망도>처럼 한양의 유명한 정자를 그린 그림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안내 설명)
정선 필 해악전신첩 (鄭敾 筆 海嶽傳神帖) 중 '만폭동(萬瀑洞)'
정선의 다른 만폭동 그림과 달리 탁 트인 활달함보다는
차분하고 깊은 느낌이 강한 작품이다.
낮은 시점을 취하는 대신 먹선과 채색의 진하기를
원경으로 갈수록 연하게 처리해 원근감을 살렸다.
만폭동의 많은 바위와 봉우리를 빠짐없이 그리면서도
화폭의 비율에 맞춰 깊이감 있는 풍경으로
재구성한 솜씨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안내 설명)
정선 필 해악전신첩 (鄭敾 筆 海嶽傳神帖) 중 '장안사비홍교(長安寺飛虹橋, 무지개다리)'
장안사는 내금강의 입구에 있는 사찰로,
금강산 여행이 시작되는 관문에 해당한다.
세차게 흐르는 금강천과 그 위에 놓인 만천교,
울창한 숲에 묻혀 있는 장안사와 맞은편에 솟은 봉우리들이
하나의 풍경으로 엮어지도록 밀도 있게 화면을 구성하였다.
30대에 그린 장안사 그림이 여러 경물을 사생하는 데에 집중하여
짜임새 있는 구성에는 이르지 못한 점과 비교된다.
(안내 설명)
정선 필 해악전신첩 (鄭敾 筆 海嶽傳神帖) 중 '단발령망금강(斷髮嶺望金剛, 단발령에서 금강산을 바라본다)'
금강산 초입의 고개인 단발령과 그곳에서 바라본 금강산의 모습을 그렸다.
얼핏 보면 여러 봉우리를 간략하게 그린 것 같지만
맨 뒤쪽 주산인 비로봉을 비롯하여 여러 유명한 봉우리들이
빠짐없이 표현되어 있다.
축소된 금강전도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다.
봉우리 사이는 연한 청색으로 채워 원근감을 살리고
산 전체의 공간감도 효과적으로 드러냈다.
(안내 설명)
방문 당시에는 사람들 틈에서 보느라 대충 보았는데,
돌아와서 사진을 정리하며 더 자세히 보게 되었네.
간송 전형필님의 우리 문화재 사랑으로 지켜낸 귀한 국가유산~
대구 간 김에 잘 보았네...
(2024.10.15.화)
* 며칠 자리 비웁니다.
다녀와서 찾아뵙겠습니다. *
'방랑, 그 흔적들-국내 > 부산 대구 경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4 - 점촌점빵길 / 청기와감자탕 (59) | 2025.03.24 |
---|---|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3 - 문경새재도립공원 / 드라마와 영화 촬영 명소,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63) | 2025.03.18 |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2 - 문경 신상 핫플, 짧지만 강렬한 봉명산 출렁다리 (28) | 2025.03.14 |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1 - 문경새재도립공원 / 옛길박물관 (24) | 2025.03.11 |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6 - 긍재전신첩(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 金得臣 筆 風俗圖 畵帖) (50) | 2024.11.24 |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5 - 훈민정음(훈민정음 해례본): 소리로 지은 집 (26) | 2024.11.23 |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4 - 김홍도 필(金弘道 筆)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 과로도기도(果老倒騎圖), 마상청앵도(馬上聽鶯圖) (26) | 2024.11.20 |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3 - 심사정 필 촉잔도권 (沈師正 筆 蜀棧圖卷) (15) | 2024.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