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지난 2월 15일에 다녀온 문경 버스여행 점빵길투어 이야기~
돌아본 곳들은 문경새재 옛길박물관 -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 점촌점빵길
- 점심(청기와감자탕) - 오미자테마터널 - 봉명산 출렁다리.
그 중 문경새재도립공원의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포스팅입니다.
주차장에서 옛길박물관 앞을 지나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으로 향합니다.
문경새재는 몇 번 다녀온 곳이기도 하고 이번에는 1시간이라는 짧은 시간이라
문경새재 오픈세트장까지만 얼른 다녀오기로 합니다.
옛길박물관 옆에 문경새재 안내 설명이 있어 담아봅니다.

문경새재는 조선의 옛길을 대표하는 관도로
영남에서 한양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이며
과거를 보러가는 선비들이 주로 이용하였습니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풀(억새)이 우거진 고개'라는 뜻의 '초점(草岾)'으로,
<동국여지승람>에는 '새들도 쉬어 넘기 힘든 고개'라는 뜻의 '조령(鳥嶺)'으로
기록되어 있답니다.

문경새재는 예로부터 한강과 낙동강 유역을 잇는 영남대로 상의 가장 높고 험한 고개로
'새도 날아서 넘기 힘든 고개(조령 鳥嶺)', '억새풀이 우거진 고개(초점 草岾)',
'하늘재와 이화령 사이(새)의 고개', '새(신 新)로 만든 고개' 등의 뜻이 담겨 있습니다.
초곡천 건너로 문경생태미로공원이 있습니다.




문경생태미로공원
자생식물원 형태의 생태 공원을 도자기, 연인, 돌, 생태를 주제로 한 4개의 미로와
전망대, 산책로, 연못 등으로 구성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자연을 즐길 수 있는 관광지입니다.
겨울철이라 좀 썰렁하네요.
다시 다리를 건너 산책로로 향합니다.


문경을 대표하는 사과나무와 백설공주와 일곱난장이 조형물들이 반깁니다.

'새재' 포토존도 마련되어 있고요...
전 방문 때는 없었던 것들이 하나 둘 생겼네요.
문경새재 제1관문인 주흘관이 보입니다.




주흘관(主屹關)-영남제1관(嶺南第一關)
남쪽의 적을 막기 위하여 숙종 34년(1708)에 설관하였습니다.
정면 3칸과 측면 2칸 협문 2개가 있고 팔작(八作)지붕이며
홍예문은 높이가 3.6m, 폭 3.4m, 길이 5.4m이며
대문의 높이는 3.6m, 폭 3.56m, 두께 11㎝입니다.
좌우의 석성은 높이 4.5m, 폭 3.4m, 길이 188m이고,
부속 성벽은 높이가 1~3m, 폭 2~4m입니다.
길이는 동측이 500m, 서측이 400m로 개울물을 흘러 보내는 수구문이 있으며
3개의 관문 중 옛 모습을 가장 잘 지니고 있습니다.

주흘관을 들어서면 '영남제일관(嶺南第一關)'이라는 현판이 보입니다.
주흘관을 들어서면 경북100주년 기념 타임캡슐광장이 보이고요.


경북100주년 기념 타임캡슐광장
경북 탄생 100주년을 맞아 1996년에 타임캡슐을 매설했네요.
현재 경북인의 생활, 풍습, 문화 등 삶의 표본을 보여주고자
100품목 475종으로 분류·선정하여 첨성대형 타임캡슐에 담아
유서 깊은 영남제일문인 주흘관 뒤 지하 6m에 매설하였답니다.
개봉은 500주년 되는 해인 2396년 10월 23일.

선정비군.
이 지역을 다스렸던 관찰사와 현감들의 선정을 기념하는 비들이 줄지어 서 있습니다.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입구고요.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은 문경새재도립공원에 위치한 사극드라마세트장으로서
2000년 2월 23일 문경새재 제1관문 뒤에 건립했습니다.
처음에는 고려시대가 배경이었으며
왕궁2동, 기와집42동, 초가40동, 기타 13동으로 국내 최대 규모의 사극 촬영장이었고요.
이곳에 설치하게 된 동기는
조령산과 주흘산의 산세가 고려의 수도 개성의 송악산과 흡사할 뿐만 아니라
옛길이 잘 보존되어 있어 사극 촬영장으로 매우 적합하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현재는 조선시대의 모습으로 2008년 4월 16일 준공했답니다.
주요 건물들은 광화문, 경복궁, 동궁, 서운관, 궐내각사, 양반집 등 103동.

관람안내입니다.
6세 이하 어린이, 65세 이상 경로 등 무료네요.


'태조 왕건'을 비롯한 수많은 사극 촬영지입니다.

종합안내도에는 건물들의 배치와 명칭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촬영 드라마와 영화명도 소개되어 있습니다.


조곡천에 놓인 용사교를 건너 오픈세트장으로 들어갑니다.




광화문쪽으로 이동하는 길에 관아가 있습니다.

경복궁 재현 공간

광화문

광화문 안쪽으로 근정문

강녕전
KBS사극드라마 홍보관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강녕전(KBS사극드라마 홍보관)

교태전

다시 광화문으로 돌아와 문을 나서면 오른쪽으로 관아가 보입니다.
왼쪽의 집들은 문경의 여러 축제 때 체험장으로 쓰이던데,
이번에는 겨울 방문 시기라 썰렁했습니다.

광화문 앞에서 백제궁쪽으로 이동합니다.

경복궁 재현 권역을 돌아보며...

양반촌


백제궁입니다.
눈이 내려 쌓인 곳이 빙판이 되었어요.
사진 찍는 걸 줄이며 조심조심 걸어야 했네요.


백제궁 앞쪽으로 양반촌과 양반촌 저잣거리가 이어집니다.
끝으로 들어왔던 입구가 있고요.


세트장 내 작은 개울에 놓인 다리를 건너면 서민촌과 서민촌저잣거리,
더 안쪽 끝으로 성문이 있어요.
대충 둘러본 후 나갑니다.

돌아나가며 인증 한 장 찍고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방문을 마칩니다.
별로 변한 게 없는 문경새재 오픈세트장이에요.
그래도 미방문자라면 문경새재 방문 시에 한 번쯤은 돌아볼만한 곳이지요.
(2025.02.15.토)
* 며칠 블방 비웁니다.
돌아와서 방문하겠습니다.
'방랑, 그 흔적들-국내 > 부산 대구 경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5 - 오미자테마터널 (42) | 2025.03.29 |
---|---|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4 - 점촌점빵길 / 청기와감자탕 (58) | 2025.03.24 |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2 - 문경 신상 핫플, 짧지만 강렬한 봉명산 출렁다리 (27) | 2025.03.14 |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1 - 문경새재도립공원 / 옛길박물관 (24) | 2025.03.11 |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7 - 정선 필 해악전신첩 (鄭敾 筆 海嶽傳神帖) (55) | 2024.12.01 |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6 - 긍재전신첩(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 金得臣 筆 風俗圖 畵帖) (50) | 2024.11.24 |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5 - 훈민정음(훈민정음 해례본): 소리로 지은 집 (26) | 2024.11.23 |
[대구 수성] 대구간송미술관 4 - 김홍도 필(金弘道 筆) 고사인물도(故事人物圖), 과로도기도(果老倒騎圖), 마상청앵도(馬上聽鶯圖) (26) | 2024.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