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부산 대구 경상

[경북 문경] 문경 버스투어 1 - 문경새재도립공원 / 옛길박물관

지난 2월 15일에 다녀온 문경 버스여행 이야기입니다.

1월 청양-공주 버스여행에 이어 2월에도 버스여행을 했네요.

운전을 안 해도 된다는 편안함에 따라나선 길입니다.

돌아본 곳들은 문경새재 옛길박물관 - 문경새재 오픈세트장 - 점촌점빵길

- 점심(청기와감자탕) - 오미자테마터널 - 봉명산출렁다리.

 

첫 코스로 들렀던 문경새재도립공원~

짧은 시간이라 옛길박물관 잠시 들르고 오픈세트장도 잠시 돌아보았답니다.

 

문경새재 옛길박물관입니다.

 

 

 

옛길박물관 위치는 경북 문경시 문경읍 새재로 944 (문경읍 상초리 244)

 

 

 

옛길박물관

문경은 우리나라 문화지리의 보고(寶庫)이자 길 박물관입니다.

조선시대 역사와 문화의 소통로(疏通路)로서

조선팔도 고갯길의 대명사로 불리던 ‘문경새재’(명승 제32호)가 있고,

우리나라 최고(最古, 서기 156년 개척)의 고갯길인 ‘하늘재’,

옛길의 백미(白眉)이자 한국의 차마고도로 일컬을 수 있는 ‘토끼비리’(명승 제31호),

또 영남대로 상의 허브 역할 담당했던 유곡역이 있습니다.

이러한 옛길관련 문화유적은 이름만 남아 있는 것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살아있는 ‘길’로서 많은 사람들이 즐겨 찾고 있습니다.

옛길박물관은 이러한 문경의 역사 문화적 정체성을 잘 나타내기 위하여 건립된 박물관으로

당초 향토사 중심의 문경새재박물관을 리모델링하여 2009년 재개관 하였습니다.

옛길 위에서 펼쳐졌던 각종 문화상을 옛길박물관에 담아내고 있습니다.

옛 사람들은 여행을 하면서 무엇을 지니고 다녔으며,

괴나리봇짐 속에는 과연 무엇이 있었을까요?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훨씬 작고 앙증맞은 유물들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과거길로 유명한 문경새재를 조망하면서

옛날 길 위에서 이루어졌던 각종 여행기(遊行錄, 熱河日記)와 풍속화,

중요민속자료 제254호인 문경 평산 신씨 묘 출토복식과 같은

문경의 문화유산도 함께 전시되어 있습니다.

(문경문화관광 자료)

 

 

 

 

1층 전시관에는

문경새재아리랑, 문경의 출토복식, 서예로 담아낸 아리랑 일만 수, 우리나라의 옛길, 

특별전시로  방문 당시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관련 자료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2층 전시관에는

유물을 통해 본 문경, 토끼비리, 영남대로, 한국의 역과 원, 백두대간에 서다

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문경새재를 여러 번 다녀왔지만 옛길박물관은 이번이 두 번째 방문이었고,

시간에 쫓겨 대충 돌아보았답니다.

문경새재 옛길박물관에는

우리나라의 옛길, 문경의 출토복식, 유물을 통해 본 문경, 토끼비리, 영남대로, 한국의 역과 원

등의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자료가 그리 많다고는 할 수 없지만 문경새재와 옛길 이야기를 알 수 있는 전시관이라

문경새재 방문 시에 한 번쯤 돌아볼만한 전시관입니다.

 

(방문일 : 2025.02.15.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