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부산 대구 경상

[부산 서구]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釜山 臨時首都 政府廳舍) - 동아대 석당박물관

동아대 부민캠퍼스. 앞 건물이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현 동아대 석당박물관) - 동아대 홈페이지 자료임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釜山 臨時首都 政府廳舍)

국가등록문화재 제41호.

이 건물은 도청 소재지를 진주에서 부산으로 옮기면서 건립한 경남도청으로,

한국전쟁 당시 임시 정부청사로 사용하였다.

1923년 건축 시작, 1925년 4월 완공.

처음 준공할 때는 ‘一’자 모양의 평면으로 구성하였으나,

1960년대 증·개축으로 ‘ㅁ’자 모양, ‘日’자 모양으로 바뀌었다.

정면 가운데에 현관 포치(porch)가 돌출되어 있고,

가운데와 양쪽 끝 부분을 돌출시키고

그 위쪽을 박공지붕으로 구성하는 등

전체적으로 위엄 있는 입면을 갖고 있다.

우리나라 근대사의 정치·사회적 변화를 간직한 역사적인 건물로

구 경상남도지사 관사(지금의 임시수도기념관)와 더불어

부산 지역의 대표적인 근대 공공 건축물이다.

현재 동아대학교 박물관으로 쓰고 있다.

(문화재청 자료)

 

동아대 부민캠퍼스 석당박물관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위치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현 동아대 석당박물관)

야외 전시
야외 전시

지하주차장에 차를 대고 박물관 입구로 들어감

동아대 석당박물관

석당(石堂)은 동아대학교를 설립(1946.11.1.)한 법조인이자 교육자인 정재환의 호.

박물관 2층은 상설 전시실(고고실, 도자실, 와당실, 불교실, 서화실, 민속실),

3층은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기록실과 구조물 전시실.

2층부터 관람 시작~

 

2층 상설 전시실(고고실, 도자실, 와당실, 불교실, 서화실, 민속실)

금조총 모형 재현
동아대 석당박물관의 금조총 석실모형
1959.11.1 동아대학교박물관 개관(중앙도서관-현 석당도서관- 3층 진열실 마련, 박물관 창설). 아래 왼쪽은 국보 제69호 심지백 개국원종공신녹권.
1966. 구덕캠퍼스 박물관 건물로 이전 개관
안중근의사 유묵 (보물 제  569-6호)
동궐도 (국보 제  249-2호)
2009.5.19. 부민캠퍼스 박물관으로 이전 개관함.
금조총 출토 금제 귀걸이와 팔찌 (보물 제1921호)
금조총(경남 양산) 발굴
금동관
금조총 출토 은제 허리띠 (보물 1921호)
금조총 출토 청동제 자루솥 (보물 1921호)
오른쪽에서 두 번째 항아리(굽다리긴목항아리)에서 금으로 된 새다리가 발견되어 '금조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금으로 된 새다리가 발견된 굽다리긴목항아리(왼쪽)
부산 영선동 패총 출토 토기 (신석기시대), 보물 제597호 토기 융기문 발
사적 제450호 사천 늑도 유적 (경남 사천)
경남 사천 늑도 출토 유물
경남 사천 늑도 유적 출토 개
늑도 출토 점뼈(위), 손칼 손잡이(아래 왼쪽), 뼈뿔 연모와 뼈바늘(아래 오른쪽) 
독무덤 (전남 나주 출토)
밀양 고법리 박익 벽화묘의 벽화(조선 전기. 왼쪽부터 남동장벽, 남서 단벽, 북서 장벽), 동전 등의 출토 유물

고고실과 토기
도자실

고려시대
고려시대 (13~14세기 청자, 청동병)

고려청자 (12세기)
고려시대. 흑유 골호와 흑유 정병
조선시대 백자청화
조선시대 백자 희준
도자실. 청화백자운룡문호

조선 백자
조선 백자

분청사기, 청자, 백자 등 여러 가지 자기의 종류
불교미술실의 조선시대 불상
은입사 동제 향완(고려시대, 오른쪽)
보물 제1810호 황리현명 청동북(고려시대. 오른쪽)
시왕도
상주 상안사지 출토 석조 불상들
잡상(가운데), 괴수면와(오른쪽)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내부 굴뚝
서화실의 안중근의사 유묵

안중근의사 유묵(동아대박물관 사진자료)
 이준열사 유묵 (동아대박물관 사진자료) 

기영각시첩. 영조가 나이 70세와 재위 40년을 기념하여 정승판서를 지낸 나이 많은 관리들의 관서인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간 것을 기념하여 제작
갑인춘 친정도. 1734년(영조 10) 영조가 창덕궁 희정당에 나아가 친정한 일을 기념하여 제작한 기록화
인산행렬반차도(사도세자 묘소를 수원 현륭원으로 이장할 때의 발인반차도로 추정된다고 함). 지방을 모신 가마 지방요여(紙榜腰?)
가마 옆으로 삼색촉롱(三色燭籠) - 청, 홍, 백색의 갓을 씌운 6개의 촉롱
견여(肩輿) - 관(시신)을 모시는 가마
향정자(香亭子) - 장례식 때 향합(香盒), 향로, 그 밖의 제구(祭具)를 담은 가마
국보 제249-2호 동궐도(모사본)
동궐(창덕궁과 창경궁)의 모습을 나타냄
고종 어필
이준열사 유묵(오른쪽)
동아대 석당박물관의 서화실
민속실의 수영야류 탈
학창의
적라의와 흑라의

 

3층 전시실(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기념실, 구조물 전시실)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부재 전시. 건립 초기의 벽돌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의 변천 과정

1925년 건축 모습
1945년 증축된 모습
한국전쟁 때 임시수도 정부청사로 쓰임
등록문화재 제41호로 지정됨(2002.09.13 지정)

지붕 트러스 구조와 무덕관 기와 전시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지붕 부분과 무덕관(1926년 지어진 건물. 부산·경남 지역의 각종 무도대회, 웅변대회가 열리던 곳) 기와 전시
동아대석당박물관의 개관과 변천
1층에 세워져 있는 광개토대왕비 모형(실제 크기와 같단다.)
동아대 부민캠퍼스. 앞 건물이 부산 임시수도 정부청사 (현 동아대 석당박물관)
동아대 석당박물관 소장 부산전차 (등록문화재 제494호)

(2020.8.6.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