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울진] 울진 엑스포 공원(왕피천 생태공원 외)
< 울진 여정 >
* 금강송면 : 소광리 황장봉계 표석, 금강소나무숲
* 죽변면 : 봉평신라비, 대게, 봉평해변, 죽변항, 후정리 향나무,
'폭풍속으로' 드라마세트장, 하트해변, 죽변등대
* 울진읍 : 월계서원, 엑스포 공원과 왕피천 생태공원, 은어다리
* 북면 : 원자력 전시관
울진 엑스포 공원
2005년 울진세계친환경농업엑스포의 주행사장이다.
자연생태계의 보고인 왕피천을 끼고,
관동팔경의 하나인 망양정이 굽어보는 바다가 이웃하고 있다.
도시민과 군민의 휴식공간은 물론,
우리나라 친환경농업의 중심지, 청정낙원 엑스포공원.
공원 안에는 유전자보호림으로 지정된
200년 이상의 소나무 1,000그루가 자생하고 있다.
인근에는 경상북도에서 운영하고 있는 전국 최대의 민물고기전시관도 있다.
공원 시설물로는
친환경농업관, 친환경농업문화관, 특화작목관, 주공연장 등
실내전시공간과
주말농장, 시골농장, 유기농경작지, 야생화관찰원, 자연예술동산, 생태터널 등
야외에서 즐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돼 있다.
경북 울진군 근남면 친환경엑스포로 25
054-789-5500
(울진군청 문화관광 자료)
엑스포 공원 안내도
1. 주 출입구, 2. 만남의 광장, 11. 친환경농업교육장,
18. 친환경농업관, 20. 곤충생태체험관, 21. EXPO 주 광장,
24. 아이스링크장, 27. 세계관, 36. 주공연장, 38. 아쿠아리움
어른 기준으로 친환경농업관2,000원, 울진곤충여행3,000원,
울진아쿠아리움5,000원, 통합관람료8,000원
(울진 엑스포 공원 자료)
왕피천 생태공원 주차장에 차를 대고 올라가 보았다.
소나무숲이 반기는 길~
공원에는 다양한 시설물이 보이고...
성급한 개나리는 12월에도 꽃을 피웠네...
소나무숲이 청정자연을 느끼게 한다.
어디로 숨을까~ 겁쟁이 눈망울을 한 토끼...
울진 아쿠아리움
우리나라 동해안에 사는 생물들을 전시해 놓은 곳...
가오리, 물범, 상어 등 120여종 5000마리의
다양한 해양생물을 직접 보고, 만지며 느낄 수 있는 곳이란다.
동해의 초대형 수중암초인 왕돌초를 재현해 놓았고,
아쿠아갤러리, 왕돌극장, 해파리존 등 다양한 존으로 구성됐다고 한다.
엑스포 공원의 울진 아쿠아리움
시간이 부족하여 우리는 통과~
왕피천 생태공원
엑스포 공원에서 바라본 생태공원
왕피천이라는 이름은
옛날 실직국(悉直國) 왕이 피난왔다고 해서 마을 이름을 왕피리,
마을 앞을 흐르는 하천을 왕피천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다른 참고자료를 살펴보았다.
왕피천이라 부르게 된 것에는 두 가지 설이 있다.
첫째로 935년 경에 신라 경순왕의 왕자인 마의태자가
모후 송씨와 함께 이곳으로 피신왔다가
모후가 이곳에서 별세하고 왕자는 금강산으로 갔다는 설이 있다.
둘째로 1361년 원나라 말기에 홍건적이
결빙기를 이용하여 남침하여
고려 31대 공민왕이 이곳으로 피신했다는 설이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왕피천 생태공원
은어의 생활
은어는 바다빙어과의 물고기로 몸길이 약 15cm.
중국, 일본, 대만,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
이곳은 기수역.
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
왕피천 생태공원
기수역(하구역)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
망양 해수욕장
망양정을 바라보며...
여러 번 간 곳이라 이번에는 통과~
망양정
망양정은 관동팔경의 하나로,
기성면 망양리 해안에 처음 세워졌으나
1471년(성종 2)에 평해군수 채신보가 현종산 기슭에 옮겨놓았다.
1517년(중종 12)에는 비바람으로 정자가 파손되자,
다음해 안렴사(按廉使) 윤희인(尹希人)이 울진군수 김세우(金世瑀)와 협의하여 중수하였다.
그 후 1590년(선조 23)에 평해군수 고경조(高敬祖)가 중수하였으며,
1690년(숙종 16) 숙종이 안원군(眼原君)에 편액(偏額)을 보내어 게판(揭板)하였다.
1854년(철종 5) 울진현령 신재원(申在元)과 군승(郡承) 남치붕(南致鵬)이
망양정을 이축(移築)할 것을 의논한 뒤 향회(鄕會)에 제안하여
둔산 해안봉을 이축 장소로 정하였으나 추진하지 못하다가,
1860년(철종 11) 울진현령 이희호(李熙虎)가 군승(郡承) 임학영(林鶴英)과 함께
근남면 산포리 둔산동으로 이전하였다.
그 후 망양정이 오래되어 퇴폐된 것을
1957년에 울진군 및 경상북도 울진교육청의 주선으로 보조금과 함께
김용식(金容湜)·장성업(張聖業)·박승갑(朴承甲) 등으로부터
목재를 기증받아 보수에 착수하였으며,
근남면 최중길(崔重吉)의 설계로 1958년에 낙성되었다.
또한 1979년에 보수 정화를 하였고,
1995년에 정자가 15도쯤 기울어진 것을
도·군비 보조로 기둥 및 부식된 부분을 교체하였다.
이후 경북 북부권 문화관광개발사업의 일환으로
2005년 완전 해체하고 새로 지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은어 다리
남대천과 동해바다가 만나는 곳에 놓인 은어다리
은어다리 주변은 일출과 야경으로 이름이 난 곳...
울진 은어다리
일출과 야경은 못 보았지만
발상이 참 좋았던 다리...
울진 엑스포 공원을 벗어나며...
울진 마지막 일정인 한울원자력본부 홍보관을 향해~~~
2015.12.27(일)
<울진엑스포공원>
전화번호 : 054-789-5500
경북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346
'방랑, 그 흔적들-국내 > 부산 대구 경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의령] 충의의 고장 의령 여행 3 - 의령 제5경 정암루와 솥바위 (0) | 2016.06.03 |
---|---|
[경남 의령] 충의의 고장 의령 여행 2 - 의령 제 1경 충익사, 의령구름다리 (0) | 2016.06.01 |
[경남 의령] 충의의 고장 의령 여행 1 - 의령 전통시장, 의령소바, 의령망개떡 (0) | 2016.05.27 |
[경북 울진] 한울원자력본부 홍보전시관 (0) | 2016.04.29 |
[경북 경주] 경주 벚꽃여행 2 - 보문호 주변 (0) | 2016.04.22 |
[경북 경주] 경주 벚꽃여행 1 - 불국사 (0) | 2016.04.14 |
[경북 울진] 월계서원(국보 제181호 장양수 홍패) (0) | 2016.04.07 |
[경북 울진] '폭풍속으로' 드라마세트장, 하트해변, 죽변등대 (0) | 2016.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