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울진] 국보 제242호 울진 봉평 신라비를 찾아서
< 울진 여정 >
* 금강송면 : 소광리 황장봉계 표석, 금강소나무숲
* 죽변면 : 봉평 신라비 전시관, 대게, 봉평해변, 죽변항,
죽변등대, '폭풍속으로' 드라마세트장, 후정리 향나무
* 울진읍 : 월계서원, 친환경엑스포공원과 왕피천 생태공원, 은어다리
* 북면 : 원자력 전시관
2015.12.26(토)
소광리 계곡을 나와 울진 봉평으로 향하였다.
봉화 울진 여행의 주 목적이었던 두 가지 중 하나인
국보 제242호 봉평 신라비를 보러...
불영계곡로의 팔각정 전망대를 지나며...
이어서 불영휴게소도 지나가고...
불영계곡로를 지나며 본 광천
구비구비 돌아가는 길~
오래 전 비포장 덜컹거리는 버스에서
숲의 우거짐이 너무 좋았던 기억이 나는 길...
올 해 여름쯤 봉화-울진 구간 새도로가 개통되면
이 길은 추억의 길로 남으리라...
남대천에 놓인 은어 다리를 보며
나는 죽변으로 향하고 있다.
울진 죽변의 봉평리에 도착
봉평해변 앞에 대게 조형물을 세워 두었다.
(다음날 아침에 찍은 사진)
신라비 전시관 앞 넓은 공간...
건너편으로는 봉평 앞바다 동해의 푸른 물결이 넘실대고...
울진 봉평 신라비 전시관.
국보 제242호 울진봉평신라비의 효율적인 보존과
관광자원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조성,
2011년 6월 23일 개관.
전시관 진입로 양 옆으로는
울진지역 송덕비 45기를 전시하는 비석거리.
비석거리에 조성한 비들에 대한 설명을 읽어 보고...
전시관 안으로 들어가 본다.
울진 봉평 신라비 전시관
제1전시실
제1전시실에는 울진 봉평리 신라비의 실물과 탑본을 전시하고 있다.
울진 봉평리 신라비의 발견 경위, 국보 지정 과정,
울진 봉평리 신라비의 현황과 원문 및 해석, 비에 나오는 사람들,
얼룩소(칡소)를 잡는 의식 행위, 신라의 형벌, 울진 봉평리 신라비의 가치,
신라 법흥왕의 업적, 삼국의 영역, 울진의 자연환경과 인문지리,
울진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울진의 연혁 등을 소개하고 있다.
울진 봉평리 신라비 (蔚珍 鳳坪里 新羅碑)
국보 제242호
삼국시대 신라의 비석으로,
1988년 봉평리 논 객토작업으로 2-3개월 방치되어 있던 것을
마을 주민(권대선)이 발견하고 신고하였다.
오랜 세월 땅속에 묻혀 있었던 까닭에 상태가 좋은 편은 아니나,
원래의 형태를 잘 간직하고 있다.
비는 자연돌을 다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사다리꼴에 가깝다.
비문은 한쪽 면에만 새겨져 있는데,
글자수는 400자 정도이다.
글씨는 중국 남북조시대에 북조의 영향을 받은 해서체이나,
예서체의 모습도 보인다.
내용은 전형적인 한문이 아니라
신라식의 독특한 한문체를 사용하여 파악이 어렵지만
전체적인 윤곽은 짐작할 만하다.
기본 줄거리는 울진 지방이 신라의 영토로 들어감에 따라
주민들의 항쟁이 일어나자,
신라에서는 육부(六部) 회의를 열고 대인(大人)을 보내어 벌을 주고,
다시 대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를 세웠다는 내용이다.
신라가 동북방면으로 진출하면서 건립한 비로,
법흥왕 11년(524)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되며
신라 사회 전반에 걸치는 여러 면들을
새롭게 검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자료이다.
또한 법흥왕 때의 율령반포와 육부제의 실시, 왕권의 실태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울진봉평신라비는 오랜 세월 동안 땅속에 묻혀 있었던 까닭으로
비문의 일부가 마멸되어 정확한 판독이 어려우나
신라 법흥왕 11년(524)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신라가 영토확장으로 동해안지역에 실직주(悉直州)를 설치하고
이곳 지역을 새로 편입함에 따라 주민들의 항쟁사태가 일어나자
신라에는 이를 응징하기 위해 육부회의(六部會議)를 열고
대인(大人)을 파견하여 벌을 주고,
다시 대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 비를 세운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비의 크기는 길이가 204cm,
글자가 새겨진 부분의 위폭 32cm, 아래폭 54.5cm이다.
비는 사각장방형의 자연석 화강암에 한면을 다듬어 비문을 새겼는데,
규모는 작지만 형태는 고구려 장수왕 2년(414)에 세운
광개토왕비와 유사한 고구려계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 비를 통하여 신라 육부제(六部制) 실시와
법흥왕의 율령반포에 대한 『삼국사기』의 기록입증 등 사
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
(문화재청 자료)
봉평 신라비 촬영을 금지하고 있기에 탑본(탁본) 사진만 찍었다.
전시관 가운데에 봉평 신라비가 전시되고 있지만
촬영금지라고 되어 있어서
보호 차원에서 사진을 찍지 않았다.
제2전시실
임신서기석
무령왕릉 지석
중원고구려비
주요한 비 모형
주요한 비 모형
6~7세기 신라비 연표.
현존하는 최고(最古)의 신라비는 2009년 발견된
포항 중성리 신라비(지증왕 2년, 501년)
두 번째가 포항 냉수리 신라비(지증왕 4년, 503년).
세 번째가 봉평 신라비(법흥왕11년, 524년)
제3전시실
기획전시실
내가 갔을 때는 울진 봉평 신라비 서예대전 수상작품들이 전시되고 있었다.
현존하는 신라비 중 세 번째로 오래된 비이다.
(사진 촬영금지여서 울진군청 문화관광 자료를 가져옴)
정말 오랜만에 다시 찾은 봉평 신라비...
이 전시관에서 가장 중요한 봉평 신라비는 전시관 안에 있고
촬영도 금지여서 오후 늦게 찾아도 무리가 없었다.
울진의 두 국보 중 하나인 봉평 신라비~
다시 보게 되어 참 반가웠다.
'방랑, 그 흔적들-국내 > 부산 대구 경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울진] '폭풍속으로' 드라마세트장, 하트해변, 죽변등대 (0) | 2016.03.06 |
---|---|
[경북 울진] 죽변항 주변 - 후정리 향나무, 죽변항과 주변 해안 (0) | 2016.03.05 |
[경북 울진] 아침 해변 산책 - 죽변 봉평해변, 골정항 (0) | 2016.03.01 |
[경북 울진] 울진 죽변에서 대게를... (0) | 2016.02.28 |
[경북 울진] 소광리 황장봉계 표석, 금강소나무숲 (0) | 2016.02.26 |
[경북 봉화] 봉화 기행 9(마지막 편) - 추억의 분천과 분천역 산타마을 (0) | 2016.02.19 |
[경북 봉화] 봉화 기행 8 - 억지 춘양에서 만난 문화재들2(권진사댁, 서동리 삼층석탑) (0) | 2016.02.16 |
[경북 봉화] 봉화 기행 7 - 억지 춘양에서 만난 문화재들1(한수정, 만산고택) (0) | 2016.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