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부산 대구 경상

[경북 안동] 세계유산 안동하회마을 (安東河回마을) 2

세계유산 안동하회마을 (安東河回마을) 2

 

삼신당 신목을 돌아나와 하회마을의 중요한 건물들인

양진당과 충효당으로 향하였다.

양진당과 충효당은 류운룡, 류성룡 형제의 집이다.

온통 가을빛으로 가득한 마을에는

방문객이 무척이나 많았다.

 

양진당 담장 앞에서...

 

 

안동 하회 양진당 (安東 河回 養眞堂)

 

보물 제306호

 

양진당은 겸암 류운룡(1539∼1601)의 집으로 매우 오래된 풍산 류씨 종가이다.

입암 류중영(1515∼1573)의 호를 빌어 ‘입암고택(立巖古宅)’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는데

류중영은 류운룡의 아버지이다.

양진당은 류운룡의 6대손 류영(1687∼1761)의 어릴 때 이름에서 따 온 것이다.

규모는 앞면 4칸·옆면 3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오른쪽 3칸은 대청, 왼쪽 1칸은 온돌방으로

바깥 주위에 툇마루와 난간을 둘러 마치 누(樓)집과 같은 인상을 주며

대청에는 문을 달아 3칸 모두 열 수 있게 하였다.

건물 안쪽 천장은 지붕 재료가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꾸몄고

한석봉이 쓴 ‘양진당(養眞堂)’이란 당호와 함께 여러 현판들이 걸려 있다.

건물 안쪽 일부 재료를 만든 수법이 뛰어나고,

일반 주택으로는 제법 규모가 큰 조선시대 별당건축물 중 하나이다.

(문화재청 자료)

 

 

 

풍산 류씨 대종택인 양진당

 

 

 

바깥쪽에 '입암고택'이라는 현판을 단 양진당.

건물 안쪽에 '양진당' 편액이 걸려 있다.

당대의 최고 서예가 한석봉이 쓴 것이란다.

 

 

충효당 가는 길

 

 

가을이 가득한 하회마을 이곳저곳에는 은행나무가 노오란 빛깔을 자랑하듯 서 있다.

 

 

 

양진당과 바로 이웃한 충효당에 도착하였다.

충효당은 서애 류성룡의 종택이다.

 

 

안동 하회 충효당 (安東 河回 忠孝堂)

 

보물 제414호

 

조선 중기 이름난 문신이었던 서애 류성룡(1542∼1607) 선생의 집이다.

류성룡 선생은 여러 벼슬을 두루 거치고

임진왜란 때에는 영의정으로

전쟁의 어려운 상황을 이겨내는데 많은 공헌을 한 분이다.

선생이 쓴『징비록』과『서애집』은

임진왜란사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귀중한 자료로도 평가 받고 있다.

충효당은 행랑채, 사랑채, 안채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와 안채는 손자인 졸재 류원지(1598∼1674)가 짓고,

증손자인 눌재 류의하(1616∼1698)가 확장 수리한 것이다.

행랑채는 8대손 일우 류상조(1763∼1838)가 지은 건물로

대문과 방, 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쪽을 앞면으로 긴 행랑채를 두고

안쪽으로 ㅁ자 모양의 안채와

一자형의 사랑채가 연이어 있다.

사랑채는 남자주인이 생활하면서 손님들을 접대하는 공간으로

왼쪽에서부터 사랑방, 대청마루, 방, 마루로 이루어져 있다.

안채는 안주인이 생활하면서 집안 살림을 돌보던 공간으로

동북쪽에 부엌을 두고 ㄱ자로 꺾여서 안방, 대청, 건넌방이 있다.

또한 건넌방 앞에는 마루와 2칸의 온돌방, 부엌이 있으며

사랑채와 연결되어 있다.

사랑채 대청에 걸려 있는 ‘충효당(忠孝堂)’이라고 쓴 현판은

명필가였던 허목(1595∼1682)이 쓴 것이라고 한다.

비교적 지을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어

조선시대 민가 건축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문화재청 자료)

 

 

 

충효당 입구.

충효당은 서애 류성룡의 종택으로 서애 사후에 지은 집이다.

서애 류성룡은 초가삼간에서 돌아가셨다고 하며,

사후에 선생의 문하생과 사림이 장손을 도와서 지었다고 한다.

증손자 때 확장했단다.

 

 

충효당에 들어서니 어디선가 낯익은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어릴 때 시골에 살 때 보았던 모습이다.

집안에 초상이 나서 아직 상중일 것이다.

옛날에는 삼년상을 치루었기에 집에 저런 짚 장식을 하고

돌아가신 어른이 살아계신 것처럼 매일 식사를 챙겼다. 

시묘살이도 효를 행하는 방법에서 비슷한 일일 터...

 

 

 

 

마루 안쪽에 충효당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명필가 허목의 글씨라고 한다.

안쪽으로 안채가 있지만 거주 공간이라 개방을 하지 않고 있다.

 

 

충효당 뒷편의 사당

 

 

 

사당을 지나 충효당 뒷편으로 깊숙한 곳에 영모각이 있다.

서애 류성룡 선생의 귀중한 저서와 유품 등이 전시되고 있는 곳.

나는 징비록이 궁금하여 얼른 계단을 올라가 보았다.

 

 

 

서애 류성룡의 징비록.

 

'징비’란 ≪시경≫ 소비편()의

“내가 징계해서 후환을 경계한다().”라는 구절에서 딴 말.

임진왜란 당시 영의정이었던 유성룡이

전쟁이 끝난 뒤에 뒷날을 경계하고자 하는 뜻에서

1592년(선조 25)에서 1598년까지의 일을 기록한 것이다.

책에는 전쟁 전 일본과의 관계, 전쟁 발발과 진행 상황,

정유재란 등의 다양한 내용이 담겨 있다.

 

징비록.

진품은 한국국학진흥원에 보관 중...

 

 

 

 

근폭집

 

 

 

 

 

 

영모록 초본

 

 

 

 

서애 선생 모부인 곤문기

 

 

영모각에는 서애 류성륭 관련 여러 가지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었다.

 

 

영모각을 돌아본 후 충효당쪽으로 나오니

충효당 뒤와 안채로 통하는 작은 문이 열리며

사람들이 오가는 모습이 보였다.

나도 얼른 들어가보려고 하였으나 출입금지 구역이란다.

자기들은 관계자들이라나......

아마도 이참씨와 같이 온 사람들인 모양이었다.

 

 

충효당 바깥 마당 한 켠의 탑 한 기.

사찰에 있어야 할 법한 탑이 집에 있다니...

 

충효당

 

 

 

 

 

충효당 바깥 마당에는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방문했을 때

기념으로 식수한 구상나무가 서 있다.

 

 

충효당 바깥 마당에서 양진당이 보이는 풍경

 

 

충효당 바깥 마당에서 양진당이 보이는 풍경

 

 

 

양진당과 충효당 사이의 기념품 및 찻집

커피 한 잔...

 

 

 

충효당을 바라본 모습

 

 

작천고택

 

 

 

담연재

작천고택 옆의 담연재는 신축된 전통양식의 저택으로

탤런트 류시원의 부친 소유란다.

문패에는 류시관, 류시원의 문패가 걸려 있다.

 

 

영국 여왕 엘리자베스 2세의 방문 때 이곳 앞마당에서 하회탈춤 공연이 펼쳐졌단다.

 

 

 

하회마을에 기와집만 있는 것은 아니다.

텃밭이 딸린 자그마한 초가도 보인다.

 

 

곶감이 매달린 모습이 정겹다.

 

 

저기 안쪽이 담연재

 

 

강둑쪽으로 나가니 긴 역사를 느끼게 하는 고목의 모습이 보인다.

 

 

만송정 숲 주변을 걷는다.

 

 

만송정 숲 주변.

만송정 숲은 이름 그대로 1만그루의 소나무를 심어 조성한 숲...

 

 

민속놀이 마당.

뒤로 하회빈연정사(河回賓淵精舍)가 보인다.

 

 

빈연정사

겸암 류운룡 선생이 진보현감으로 계시다가

모친의 병환으로 사퇴한 후 돌아왔으며

이곳 빈연정사를 서재로 사용하였단다.

 

 

기념품 가게

 

 

원지정사

서애 류성룡의 나이 32세 때, 부친상을 당하게 되었고

류성룡은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내려갔다고 한다.

원지정사는 부친의 3년상을 치른 후 세운 정사이며

화천(낙동강) 건너 보이는 원지산을 바라보고 있다고 하여

원지정사라고 부른단다.

 평소 독서도 하고 제자들을 가르치기 위해 세웠다.

독서하고 학문을 연마하다가

가끔 자연을 벗 삼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연좌루가 옆에 있다.
시간 관계상 이번에는 들르지 못했다.

 

 

강 건너편 부용대.

 

부용대

처음에는 하회의 북쪽에 있는 언덕이라는 뜻으로 북애()라 했다가

부용대로 바꿨다고 한다.

부용대 아래로 낙동강이 굽이쳐 흐르는 곳을 바라보며

겸암정사, 옥연정사, 화천서원이 자리하고 있다.

 

 

 

부용대에서 바라보는 하회마을 풍경이 참 절경인데...

저기에 올라가서 하회마을을 바라보았던 옛 생각이 난다.

동네를 돌아보는 것보다 저곳에 올라 바라보는 것이 경치는 더 멋진 것을...

 

 

부용대

 

 

강 건너로 겸암정사가 보인다.

 

겸암정사

조선 중기의 문신인 겸암 유운룡(류성룡의 형)이 세워

학문 연구와 제자 양성에 힘쓰던 곳으로 

서당 역할을 하였단다.

 

 

 

나룻배 운행 중...

나룻배로 강을 건너 옥연정사를 볼 수도 있겠다.

차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옥연정사

1586년(선조 19) 화천 건너편 부용대 기슭에 세운 건물이다.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을 위해 작은 서당을 세우려는

서애 류성룡의 뜻을 안 탄홍 스님이

10년 동안 곡식과 포목을 시주하여 완공하였다고 한다.

 

 

 

 

안동 하회마을 만송정 숲 (安東 河回마을 萬松亭 숲)

 

 

천연기념물 제473호

 

만송정 숲은 낙동강이 하회마을을 휘돌아 흐르며 만들어진

넓은 모래 퇴적층에 위치하며,

조선 선조 때 문경공 류운용이

마을 맞은편 부용대의 기를 완화하기 위하여

1만그루의 소나무를 심어 조성한 숲이다.

하회마을, 백사장, 낙동강 그리고 부용대 등과 어우러져

경관이 뛰어난 마을숲으로

경관적, 역사적, 문화적 가치가 크다.

(문화재청 자료)

 

 

부용대가 보이는 풍경.

차로 이동하여 주위의 옥연정사나 화천서원을 돌아보는 것도 좋다.

그러나 이번에는 그럴 여유가 없으니 조금 아쉬운 마음...

 

 

강둑길을 걸어 나가는 길...

 

 

 

 

감나무 몇 그루가 가을 분위기를 더 북돋운다.

 

 

 

하회마을 입구

 

 

 

논에 누워 있는 볏단의 모습.

옛 정취를 느끼게 하는 모습이다.

돌아갈 때는 셔틀버스를 타기로 한다.

 

 

2014.11.01(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