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서울 인천 경기

수원 청련암 불화(영산회상도, 아미타회상도, 신중도, 독성도, 산신도, 칠성도)

 

수원 청련암 불화(영산회상도, 아미타회상도, 신중도, 독성도, 산신도, 칠성도)

 

 

수원 청련암 영산회상도(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21호)

영산회상도의 불화승은 19세기 전반 경기도를 중심으로 활동한 불화승이며 경기도 지역의 불교회화와 불화승의 계보를 밝힐 수 있는 작품이다. 전각 내부를 꽉 차게 배치한 화면의 크기는 다른 사찰에서 볼 수 없는 중요한 특징이다.

 

 

  

 

 

 

수원 청련암 아미타회상도(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46호)

아미타회상도의 불화승은 19세기 후반 전국을 무대로 활동한 인물로 설채법과 색감 및 화면구성법 등 조선 후기 불화 양식을 잘 반영한 작품이다.

(수원문화관광사이트 사진)

 

 

 

청련암 신중도(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47호)

신중도 화기를 통해 동 사찰내 아미타후불도와 같이 제작되었다. 이 그림은 불화승의 활동 시기와 설채법 및 구도 등에서 19세기 후반 불교회화를 잘 반영한 작품이다.

 

 

 

청련암 독성도(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48호)

독성도는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작품이다. 이 그림은 불화승의 활동 시기를 알 수 있고 설채법 및 구도 등에서 19세기 후반 불교회화를 잘 반영한 작품이다.

 

 

청련암 산신도(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49호)

산신도는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작품이다. 이 그림은 설채법 및 구도 등에서 19세기 후반 불교회화를 잘 반영하고 있다. 특히 조선후기 민화와의 유사성 등은 회화사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는 작품이다.

 

 

청련암 칠성도(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50호)

칠성도의 화기를 보면 아미타후불도보다 4년 전에 그려진 작품이다. 불화를 그린 대허체훈과 봉법은 19세기 후반을 대표하는 불화승으로 이 불화는 설채법과 구도 등에서 19세기 후반의 화풍을 반영한 작품이다.  

 

(수원문화관광사이트 사진)

 

 

2011.10.03(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