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부산 대구 경상

[경북 울진] 죽변등대, '폭풍속으로' 드라마 세트장, 하트해변, 죽변항

울진 죽변 용의 숲길에서 바라본 풍경. '폭퐁속으로' 드라마 세트장과 하트해변 (2022.01.26. 수)

 

올해 1월, 울진-삼척 산불 전의 방문...

죽변 해안스카이레일을 탄 후 

죽변등대,  '폭풍속으로' 드라마 세트장, 하트해변, 죽변항 등을 돌아보기로 한다.

전에 돌아보면서 아름다움에 반한 곳~

대게를 아주 맛있게 먹었던 기억을 떠올리며......

 

 

새뜰마을

등대오름길의 새뜰마을 죽변등대지구 안내

 

죽변등대 앞 주차장. 공원

죽변등대 앞 주차공원의 우리땅 독도 이야기
울진-독도 내륙 최단거리 216.8km. 태극기의 모양과 색을 이용한 조형물
독도 최단거리 표주석. 울진-독도 216.8km, 울진-울릉 130.3km
대숲 아래로 죽변항. 더 남쪽으로 봉평신라비가 있는 봉평리

 

죽변등대

1910년 11월, 울진지역에서 최초로 건립된 등대.

1950년 6월, 한국전쟁 중 폭격으로 인하여 등대기능을 잃기도 하였으나,

1951년 10월에 등탑을 보수·복구,

1970년 4월, 안개시 보내는 소리신호기(무신호기)를 설치,

안개나 풍우 속에서도 선박의 항로를 인도할 수 있게 됨.

죽변등대 관리동과 등대
산죽 군락지 높은 곳에 위치한 죽변등대

 

용의 꿈길

죽변등대 아래 산죽 따라 '폭풍속으로' 드라마세트장 있는 곳까지 이어지는 용의 꿈길로 이동해보기로 한다.
해파랑길 표시가 되어 있다.
해안 스카이레일
'폭풍속으로' 드라마세트장과 하트해변이 보이는 멋진 뷰를 자랑하는 곳
'용의 꿈길' 표시가 있는 입구에 도착. 앞쪽은 트릭아트 포토존인데, 색이 많이 바랬네.
옛날, 승천을 기다리던 용이 그 꿈을 이루었다는 용소가 있는 곳. 이곳 대나무숲은 신라시대 화랑들이 왜구를 막기 위해 상주한 곳이며 대나무는 임진왜란 때 화살 재료로 활용되었단다. 조선시대부터 가뭄 때 기우제를 지내기도 했다는 곳. 용이 노닐면서 승천한 곳이라는 의미로 용추곶(龍湫串)이라 불렀단다.

 

'폭풍속으로' 드라마 세트장

'폭풍속으로' 드라마세트장과 해안스카이레일
'폭풍속으로' 드라마세트장과 해안스카이레일
참 오래된 드라마인데, 여전히 사랑받고 있는 세트장이다.
해안스카이레일, 대숲길, 죽변등대
'폭풍속으로' 드라마세트장
세트장 내부. 관리하시는 분이 한 분.
박원숙의 '같이 삽시다'라는 프로그램에도 등장
울진여행지 사진들도 걸려 있고...
최근에는 사선녀들 사진도...
울진군 관광안내지도. 유명한 곳들은 대충 보았는데, 더 세세히 볼 날 있으려나~~~
아담한 2층
2층에서 아래를 바라봄

 

하트해변

'폭풍속으로' 세트장에서 바라본 하트해변
'폭풍속으로' 세트장에서 바라본 하트해변
하트해변 가까이에서 바라본 해안스카이레일
하트해변에서 바라본 해안스카이레일과 '폭풍속으로' 세트장
하트해변에서 바라본 해안스카이레일
하트해변에서 바라본 해안스카이레일
하트해변에서 바라본 해안스카이레일
하트해변에서 바라본 바다 풍경
하트해변에서 바라본 '폭풍속으로' 세트장
하트해변에서 바라본 해안스카이레일과 '폭풍속으로' 세트장

 

등대길 도로에서...

등대길 도로에서 바라본 세트장

등대1길에도 주차장. 벽화도 보이네.
다리 모양이 대나무처럼 곧다는 대게 설명
울진대게
드라마 '폭풍 속으로', 1박2일 촬영지

어부의 두 아들과 그들에게 다가온 운명적인 사랑, 그들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드라마 '폭풍속으로'

 

죽변항

동해안에서도 손꼽히는 어업전진기지로 규모가 굉장히 크다.

대게, 오징어, 고등어, 꽁치 등이 많이 잡히고 특산물로 미역이 유명.

어획량도 많아서 수산물 가공 공장들이 많다.

죽변에는 수많은 명소들도 있는데,

남에서 북쪽으로 올라가며 봉평해수욕장, 봉평신라비 사적공원, 후정리 향나무,

죽변 해안스카이레일, 죽변등대, '폭풍속으로' 드라마세트장, 하트해변,

국립해양과학관까지 다양한 명소들을 품고 있다. 

죽변항. 대게를 포장해 가려고 나중에 들렀다.
드넓은 죽변항

대게빵
죽변항의 대게집들
대게는 뒤집어서 찐다.

죽변항

이어서 후정리 해안가에 있는 국립해양과학관으로 간다.

(2022.01.26.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