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광주 전라

[전남 목포] 성옥기념관(이훈동정원), 경동성당

[전남 목포] 성옥기념관(이훈동정원), 경동성당


<2015.5.1. 금> 장성 여행

 장성 필암서원과 유물전시관 - 홍길동테마파크(홍길동축제) - 아곡 박수량 백비

- 저녁(광주 무등산 보리밥 거리)

<2015.5.2. 토> 광주 여행

금남로 - 광주공원(광주향교)  - 사직공원 - 양림마을

- 5.18민주묘지 - 망월동묘역 - 중외공원 - 송정떡갈비

- 저녁, 목포 도착(목포역 앞 빛의 거리 루미나리에)

<2015.5.3. 일> 목포 여행

목포근대역사관(구 동양척식회사) - 경동성당 - 국도1.2호선기점 기념비

- 목포근대역사관(구 목포 일본영사관) - 유달산(노적봉) - 성옥기념관(이훈동정원) - 유달산 조각공원

- 오거리문화센터(구 동본원사 목포별원) - 삼학도 - 갓바위 - 평화광장(도자기축제)

<2015.5.4. 월> 진도 여행

세방낙조전망대 - 급치산전망대 - 천종사(동석산이 보이는 풍경) -  유채꽃이 보이는 풍경

- 팽목마을, 진도항 - 남도석성(진도 남도진성) - 배중손사당 -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와 오층석탑

- 허정무 감독 고향마을 - 뽕할머니 영당(모세의 기적) - 운림산방 - 진도개 테마파크 - 진도타워

<2015.5.5. 화> 진도, 해남 여행

명량해협 - 진도대교 - 벽파진 이충무공전첩비

- 해남 명량(울돌목) 우수영관광지 - 충무사 - 우수영 강강술래길(법정스님 생가터)

- 우향리공룡화석자연사유적지 - 송호리 해송림 - 땅끝전망대 - 미황사 - 대흥사 



(2015.5.3. 일)





성옥기념관과 이훈동정원


성옥기념관


목포 유달산 아래 아늑히 자리잡은 성옥기념관은
조선내화(주) 창업자이며 전남일보 발행인
성옥 이훈동(聲玉 李勳東)선생의 88세 미수(米壽)를 기리기 위하여

2003년 선생의 자녀들이 건립한 문화공간입니다.

전남 문화재 자료 제165호인 이훈동 정원 옆

대지 1678.8㎡, 건물 739㎡, 높이 9m의 석조 건물은
미려성이 돋보이기도 합니다.

기념관에는 성옥선생님이 미술품 사랑으로 수집한 근, 현대 작품과

자녀분들의 소장품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와 종류가 매우 다양한 고미술작품과 도자기 등도

함께 감상하실 수 있도록 전시되어 있습니다.
기념관은 유달산 등구에서 내려다 보이는 곳에 자리잡고 있어서

목포시민과 목포를 찾는 외지인의 문화쉼터로 

자리매김되어지리라 생각되어집니다.

(출처: 성옥기념관 자료)


성옥 이훈동 연보


1917년 출생

1932년(16세) - 일본전기공업주식회사 운영의 성산의 쇼와 광업소에 견습사원 특채.

1935년 - 목포 미스모토 광업소의 지배인으로 임용됨.

1941년(25세) - 결혼

1946년 - 일본 경유 독일 여행 때 내화물에 대해 눈을 뜨고 확실한 진로 구상.

귀속 광산인 성산 광산의 운영권 취득.

이어 완도 광산도 인수해 내화물 사업의 토대 마련.

1947년(31세) - 조선내화화학공업주식회사 창립.

조선내화의 전신은 1938년 일본인 사토가 설립한 조선내화공업주식회사로,

1947년 손용기 씨 등이 미군정청으로부터 불하받아 새 이름으로 출범함.
이듬해 당시 경영진의 권유에 따라 상무로 경영에 참여.

1953년(37세) - 조선내화 대표이사 취임.

1959년 - 2개월 동안 유럽 산업 시찰 다녀옴.

제2차 세계대전 패전국인 독일이 이룩한

 '라인강의 기적' 등 선진 문물을 눈으로 확인하고

내화물 사업을 통한 공업 입국의 의지 다짐.

이때 현장서 느낀 소감을 목포일보에 8회 걸쳐 연재,

 '문장가'라는 칭송을 받음.

1963년 - 전남광업회 회장 취임. 이후 5선 역임

1974년 - 조선내화 포항 1공장 준공.

1977년(61세) - 성옥문화재단 설립.

회갑 잔치 대신 뜻 있는 사업을 구상하다가 문화재단 설립.

1978년(62세) - 조선내화 포항 2공장 준공

1986년(70세) - 조선내화 대표이사 사장자리를 장남에게 물려주고 회장에 취임.

조선내화 광양공장 준공.

1987년 - 전남일보사 설립.

1989년 - 전남일보 창간호 발행.

1993년 - 조선내화 본사를 광양으로 이전.

상호를 조선내화주식회사로 변경.

2003년 - 성옥 기념관 건립. 대지 524평, 건평 230평 규모로 준공. 

아들딸들이 아버님의 미수(米壽)를 기리기 위하여 지음.

2004년(88세) - 성옥 기념관 개관. 전시관으로 운영 (서예ㆍ동양화ㆍ도자기 등)

2010년(94세) - 소천

(출처: 성옥기념관 자료 발췌)


조선내화 창업자이자 전남일보 설립자인

고 이훈동 회장의 이모저모를 살펴보게 되는 자료이다.

다음에는 구 조선내화 목포공장도 한 번 둘러봐야지...


성옥기념관에는 조선내화 창업자인 이훈동 회장의 기록실을 비롯하여

근, 현대 서예 작품과 한국화, 도자기 작품 등이 전시되고 있다.


성옥기념관


성옥기념관 별관



2015년 5월 방문 당시에는

김천일의 '유달산을 거닐다' 전이 열리고 있었다.


성옥기념관과 정원





이훈동정원


문화재자료 제165호

이훈동정원 (李勳東庭園)


1930년대에 일본인 내곡만평(內谷萬平)이 지은 정원으로,

우리나라의 서원양식으로 꾸며 놓았다.

입구정원·안뜰정원·임천정원·후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본식 석등과 일본식 석탑이 배치되어 있어

일본식 정원의 분위기가 물씬 풍긴다.

입구정원에는 향나무·종려나무·얼룩식나무·다매화·은테사철나무

·모과나무·배롱나무·사스끼철쭉 등을 심고,

안뜰정원에는 잔디로 마당을 만들어

후박나무와 후파향나무·종가시나무 등을 심어놓았다.

임천정원에는 히말라야시이다·주목·삼나무·편백나무

·종가시·위성류·다매화 등을 빈틈없이 심었는데,

수풀 속으로 좁다란 시냇물이 흐른다.

후원은 언덕 위의 평평한 잔디마당을 중심으로

그 위쪽과 아래쪽에 갖가지 나무들을 심어 놓았다.

(출처: 문화재청)


이훈동정원 (출처: 문화재청)





경동성당

목포시 향토유적 제22호(2012년 5월 21일 지정됨)

1951년 4월 9일 광주대교구 최초의 성당인 산정동성당에서 분리.

1953년 1월 15일 사제관 준공.

1953년 3월 31일 한국 최초로 레지오 마리애 도입.

1954년 7월 7일 본당 완공.

전면부는 1966년의 지반 침하로 개축했으며

전면부 외에는 건립 당시의 모습을 유지.

경동성당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 뒤쪽 목포여중 맞은편에 위치.


본당사무실 앞의 레지오 마리애 도입기념비

'한국 최초로 레지오가 시작된 이 자리에

50주년을 맞아 이 기념비를 봉헌한다'(2003.11.9)

는 내용이 적혀 있다.


레지오 마리애(레지오)

가톨릭교회의 평신도 신앙 공동체로

'마리아의 군단'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1921년 아일랜드의 더블린에 있는 프란시스 거리에서

프랭크 더프(1889~1980)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한다.

당시 이름은 '자비의 모후'

주요 용어와 조직은 고대 로마의 군대 조직에서 따왔다고...

우리나라에서는 1953년 광주대교구장인 하롤드 대주교의 지도로

목포 산정동 본당과 경동 본당에 쁘레시디움이 설립되었고,

이후 쁘레시디움 단위로 레지오가 전국적으로 뻗어나갔단다.


우리가 방문한 날은 마침 경동성당 63주년 본당의 날~



2015년 경동성당 63주년을 맞이하여

성당의 역사와 교인 활동을 알 수 있는 사진들이 전시되고 있었다.


경동성당의 처음 모습


경동성당 63주년을 기념하여 전시된 사진 이모저모




경동성당 63주년을 기념하여 전시된 사진 이모저모



경동성당 내부



경동성당 옆모습


건너편은 목포여중. 성옥 이훈동 공적비


5월의 경동성당 주변 풍경


목포 천주교 경동성당

오른쪽으로 김대건 신부상이 보인다.

(방문일: 2015.5.3.일)


얼마전에 천사대교가 개통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그러니 앞으로 목포를 방문할 기회가 또 있을 것이다.

그 때는 지난 번에 못 본 것들을 찾아서 돌아봐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