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광주 전라

[광주광역시] 광주공원 (전)성거사지 오층석탑, 광주향교, 사직공원, 양림마을

[광주광역시] 광주공원 (전)성거사지 오층석탑, 광주향교, 사직공원, 양림마을


<2015.5.1.> 장성 여행

 장성 필암서원과 유물전시관 - 홍길동테마파크(홍길동축제) - 아곡 박수량 백비

- 저녁(광주 무등산 보리밥 거리)

<2015.5.2.> 광주여행

금남로 - 광주공원 (전)성거사지 오층석탑, 광주향교 - 사직공원 - 양림마을

- 5.18민주묘지 - 망월동묘역 - 중외공원 - 송정떡갈비

<2015.5.3.> 목포여행

목포근대역사관(구 동양척식회사) - 경동성당 - 국도1.2호선기점 기념비

- 구 목포 일본영사관 - 유달산(노적봉) - 이훈동정원(성옥기념관) - 유달산 조각공원

- 오거리문화센터(구 동본원사 목포별원) - 삼학도 - 갓바위 - 평화광장(도자기축제)

<2015.5.4.> 진도여행

세방낙조전망대 - 급치산전망대 - 천종사(동석산이 보이는 풍경) -  유채꽃이 보이는 풍경

- 팽목마을, 진도항 - 남도석성(진도 남도진성) - 배중손사당 - 진도 상만리 비자나무와 오층석탑

- 허정무 감독 고향마을 - 뽕할머니 영당(모세의 기적) - 운림산방 - 진도개 테마파크 - 진도타워

<2015.5.5> 진도, 해남여행

명량해협 - 진도대교 - 벽파진 이충무공전첩비

- 해남 명량(울돌목) 우수영관광지 - 충무사 - 우수영 강강술래길(법정스님 생가터)

- 우향리공룡화석자연사유적지 - 송호리 해송림 - 땅끝전망대 - 미황사 - 대흥사


(2015.5.2)


한적한 시간에 중앙로, 충장로 일대를 잠시 걸어본 후

광주공원의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을 찾아간다.


광주공원

광주시의 제1호 공원으로 옛날에는 성거사가 있었으며

일제강점기 때는 일본인들의 신사가 있던 곳인데

현재는 현충각과 시민회관이 자리하고 있다.

광주공원은 1935년 신사를 개조하면서 원래 형태가 많이 변했다고 한다.

현충탑을 중심으로 한 공터는 노인들의 휴식처로 애용되고 있으며

장수의 상징인 거북이 형상을 하고 있다.

(출처 : 광주광역시 남구 문화관광자료)


광주공원 입구에서 빛고을 시민문화관을 만나고...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을 만난다.




(전)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傳 光州 聖居寺址 五層石塔)

보물 제109호이다.

1단의 기단(基壇) 위에 5층의 탑신(塔身)을 세운 석탑

1층 몸돌 전체를 아래위 2단으로 나누어 5개의 돌을 맞추고 있다.

고려시대에 흔히 나타나는 특색을 보인다.

(문화재청 자료)


서오층석탑으로 불리던 (전) 광주 성거사지 오층석탑

준수한 모습이다.

이번에는 광주 지산동 오층석탑(동오층석탑)은 패스...


이 탑이 있는 광주공원은 원래 성거산 또는 성구강이라 불렸다.

산의 모양이 거북처럼 생겼으므로 상서로운 동물이 광주를 떠나지 못하도록

등에는 성거사를 세우고 목에는 오층석탑을 세웠다고 하는데

높이 약 7m의 화강석재로 튼튼한 안정미와 수려함이 넘치는

고려 시대의 탑으로 뛰어난 수작이다.

(출처 : 광주광역시 남구 문화관광자료)


광주공원의 현충탑


광주공원은 구동공원으로도 불린다.

거북등 또는 성거산이라고 하는 언덕 전체를 공원화한 곳이다.

어린이헌장탑, 4·19혁명희생자추모탑도 세워져 있다.


의병장 심남일(南一) 순절비도 만날 수 있다.


심남일의 본명은 심수택(沈守澤 ), 자가 남일((南一).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1907년에 의병을 일으켰으며

전남 일대에서 일본군과 항전하여 많은 전과를 거두었다.

의병 해산으로 일본군 섬멸의 뜻을 이루지 못하였고

신병 치료 중 체포되어 대구형무소에서 순국.


이런 분들의 희생으로 이어져온 우리나라가 아니던가~~~

다시 한 번 애국지사들의 충성심에 고개가 숙여진다.


용아 박용철과 영랑 김윤식의 시비


학창 시절에 거의가 접했을 박용철의 대표시 <떠나가는 배>와

김영랑(김윤식)의 대표시 <모란이 피기까지는> 일부가 쓰여져 있다.

시문학파인 두 사람~

박용철은 광주 광산 출신으로 김영랑과 교우하면서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한다.


나는 시인을 언어의 마술사라고 생각한다.

어쩌면 그렇게 아름다운 언어들을 탄생시킬 수 있는지~~~

'나두야 간다~', '모란이 피기까지는~'

<떠나가는 배>와 <모란이 피기까지는> 시를 잠시 읊조려 본다.


광주공원 사적비군

광주 시내 여러 곳에 있던 사적비를

광주공원으로 옮겨 놓은 것을 말한다.

훼손되어 가고 있던 선열들의 유적비를

1957년 광주공원 입구에 옮겼다가

1965년 다시 동쪽 언덕에 집단 건립하였다.  

(출처 : 광주광역시 남구 문화관광자료)


광주공원 사적비군

이곳의 비들 중에는 친일한 이의 비가 같이 있어 논란이 되고 있다.

어쨌거나 우리의 불행한 역사를 말해 주니 안타까움...


현재 광주공원 옆에 위치하고 있으며

원래는 태조7년 무인(1398)년에 무등산 장원봉 밑에 건립하였으나

호환(虎患)이 심하여 동문 밖(현 동명동)으로 옮겨졌는데

여기서는 또 수해를 입게 되어

1488년(성종 9년)에 당시의 광주 현감 권수평이 현재 위치로 옮겼다.

(출처 : 광주광역시 남구 문화관광자료)


광주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호 광주향교



이렇게 자세한 해설이 향교를 찾는 이들의 이해를 돕는다.

한자로 된 것들, 오래되어 알아보기 어려운 것들을

이해하기 쉽게 풀어주면 더 가깝게 느껴지겠지... 


비각에는 광주향교 중수 관련한 여러 비들이 서 있다.


광주향교 충효교육관


복원된 문회재 대강당


서재와 내삼문


대성전 앞 삼문(내삼문)


공자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

대성전 앞에는 동무와 서무 건물이 있다.


대성전 내부

공자를 비롯한 여러 성현을 모시고 있다.


대성전 앞에는 보호수로 지정된 250여년 된 측백나무가

광주향교의 역사를 증명하듯 우람하게 서 있다.


명륜당


역사가 살아있는 광주향교~

시민들을 위한 공간으로 유용하게 이용되고

오래도록 잘 보존되었으면 하는 마음...



이어서 광주천 바라보기...

광주공원 빛고을시민문화관 앞 광주교


광주천과 광주대교


깨끗하게 정비된 광주천

중앙대교와 서석교도 모습을 보인다.


서석교

광주천에는 특징 있는 아름다운 다리들이 놓여 있어

바라보며 걷는 기쁨이 크기도 하다.


시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지는 아담한 광주천



이어서 사직공원에 들렀다.

조선 태조 때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냈던

사직단을 설치한 것으로부터 유래된 곳...


사직공원

조선 태조 3년에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제사를 지냈던

사직단을 설치한 것으로부터 유래되었다.

특히 매년 4월 15일을 전후로 벚꽃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사직공원의 명소였던 팔각정을 대신해 사직공원 전망타워가 완공되어

국립아시아 문화전당, 무등산 등 광주 전역을 조망할 수 있게 되었다.

(출처 : 광주광역시 남구 문화관광자료)


눌재(訥齋) 박상(朴祥)의 시비

박상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시를 잘 써서 이름을 떨쳤다고 한다.


옛 팔각정(운암정) 흔적


새로 조성된 사직공원 전망타워


사직공원 전망타워


사직공원 전망타워에서 바라본 광주 도심과 무등산



사직공원 전망대에서 무등산을 바라보며...


사직도서관 주변~



광주천과 광주 도심


사직공원 전망타워에서 바라본 광주천과 광주 도심


사직공원과 광주공원 주변


사직공원 전망타워에서 광주 도심을 바라본 후

이웃한 양림마을을 아주 잠깐 돌아보기로 한다.


양림마을

호남신학대학교 앞을 지나...


역사 인물 거리를 지나며~

독립운동가 정율성, 항일 및 여성 운동가 조아라 여사를 비롯한 광주 출신의 인물들...



이장우가옥 (李章雨家屋)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

안채, 사랑채, 행랑채, 곳간채, 대문간으로 구성된 전통 상류가옥이다.

1899년 정병호가 안채와 대문간을 건축하였고,

1959년 이장우가 매입한 후 사랑채와 행랑채, 곳간채까지 완성

(문화재청)


양림마을 이장우 가옥


동강 이장우 박사(1919~2002)는 동강유치원과 동신중ㆍ고등학교,

동신여중ㆍ여고, 동강대학, 동신대학교를 설립한 분이라고 한다.


한창 보수 중이라 출입이 어려웠던 이장우 가옥

안채가 1989년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1호로 지정됨.


광주 정씨 정엄 선생의 효자비와 충견상 있는 곳을 돌아서...


양림마을의 볼거리들 안내 벽면~


양림마을 여행지 안내도

이곳들 두루 돌아보고 싶은데, 아무래도 다음으로 미뤄야겠지...


정율성

일제강점기에 항일 독립운동.

해방이 된 후 북한에서 활동했으며

한국전쟁 후에는 중국에서 음악가로 활동했단다.

중국 3대 음악가 중 한 사람으로 추앙받는다는...

이런 인재가 한국이 아닌 중국에서 활동을 했다니

불행했던 우리의 역사를 다시 한 번 되새기게 된다.



최승효가옥 (崔昇孝家屋)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2호

이집은 정면 8칸 측면 4칸으로 규모가 크고 지붕은 팔작지붕이며,

기와는 유약을 바른 적색기와로 특이하며,

정면에 비대칭수법을 사용하여 율동감을 주는 등

전통가옥이 개화기 한옥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오른쪽의 경사진 부지를 자연 그대로 이용하여 반지하층을 구성하고,

언덕과 암벽에서 흘러내리는 석간수를 끌어다가 연못을 만들어

건물의 운치를 한결 돋보이게 했다.

1920년대에 지어진 이 가옥은 지붕밑에 다락이 있어서,

독립운동가들이 피신하던 장소로 또다른 의미가 있다

(문화재청)


문이 닫혀 있어서 안을 볼 수 없었던 최승효 가옥


원래 1920년대 독립운동가 최상현의 가옥으로

한말 전통가옥의 변천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건축사적 의의가 큰 집이다.

(광주 남구 문화관광 자료)


무등산 증심사 입구


'광주' 하면 '무등산', '무등산' 하면 '증심사'를 공식으로 생각하는 나다. ㅎㅎ..

오래 전 2004년도인가에 광주를 방문하였을 때 증심사를 방문한 적이 있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기억이 희미하다.

사찰 가까이까지 차를 가지고 갔던 기억이 아스라히~~~

언젠가 또 기회가 오겠지...


이렇게 광주공원과 사직공원 일대의 몇 곳들을 돌아보고

증심사 입구까지 드라이브 한 후 5.18민주묘지로 향하게 된다.


201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