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공주] 계룡산신에게 제사 지내던
공주 계룡산 중악단 (公州 鷄龍山 中嶽壇)
신원사 영원전과 선원 사이 옆으로 난 길을 따라 몇 발짝 걸으면
산신각인 중악단이 보인다.
중악단은 나라에서 계룡산신에게 제사 지내기 위해 마련한 건축물로서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산신에게 제사 지낸 유적이란다.
계룡산 중악단...
무학대사의 꿈에 산신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태조 3년(1394)에 처음 제사를 지냈다고 전하며,
효종 2년(1651)에 제단이 폐지되었단다.
그 후 고종 16년(1879)에 명성황후의 명으로 다시 짓고 중악단이라 하였단다.
신라 때는 5악의 하나로 제사를 지냈다고 하며,
조선시대에는 북쪽의 묘향산을 상악으로
중앙의 계룡산을 중악으로
남쪽의 지리산을 하악으로 하여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공주 계룡산 중악단 (公州 鷄龍山 中嶽壇)
보물 제1293호
중악단은 국가에서 계룡산신에게 제사 지내기 위해 마련한 조선시대의 건축물이다.
계룡산은 예로부터 신령스러운 산으로 여겨져 왔으며,
신라 때 5악의 하나로 제사를 지냈다.
조선시대에는 북쪽의 묘향산을 상악으로,
남쪽의 지리산을 하악으로,
중앙의 계룡산을 중악으로 하여 단을 모시고 산신에게 제사를 지냈다.
무학대사의 꿈에 산신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태조 3년(1394)에 처음 제사를 지냈다고 전하며,
효종 2년(1651)에 제단이 폐지되었다.
그 후 고종 16년(1879)에 명성황후의 명으로 다시 짓고 중악단이라 하였다.
구릉지에 동북·서남을 중심축으로 하여
대문간채, 중문간채, 중악단을 일직선상에 대칭으로 배치하고
둘레에는 담장을 둘렀다.
건물배치와 공간구성에 단묘(壇廟)건축의 격식과 기법을 엄격히 적용하고 있다.
중악단의 현판은 조선 후기 문신 이중하(1846∼1917)가 쓴 것이라고 한다.
내부 중앙 뒤쪽에 단을 마련하고,
단 위에 나무상자를 설치하여 그
안에 계룡산신의 신위와 영정을 모셔 두었다.
1.5m의 높은 돌기단 위에 앞면 3칸·옆면 3칸의 규모에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 양식인데,
조선 후기의 특징적인 수법으로 조각·장식하여 화려하고 위엄있게 하였다.
또한 각 지붕 위에는 각각 7개씩 조각상을 배치하여
궁궐의 전각이나 문루 또는 도성의 문루에서 사용하던 기법을 쓴 점도 특이하다.
조선시대 상악단과 하악단은 없어져서 그 유적 내용을 알 수 없으나,
중악단이 잘 보존되어 있어
나라에서 산신에게 제사지냈던 유일한 유적으로 역사적 의미가 있다.
내부의 공포와 산신도와 신위
공주 계룡산 중악단
중악단 건물 사진
입구 대문간채.
현재 실측 조사 중이었다.
중문간채를 지난다.
보물로 지정된 중악단이다.
중악단이라는 현판은 조선 후기 문신 이중하(1846∼1917)가 쓴 것이란다.
중악단에서 중문간채쪽을 바라본 모습
돌아나가는 길... 중문간채와 대문간채가 보인다.
바깥 대문간채 안쪽의 현판
밖으로 나와서 오층석탑쪽에서 본 풍경
2013.07.31(수)
'방랑, 그 흔적들-국내 > 대전 충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남 공주] 마곡사 가는 길목에서 만난 은행나무숲 (0) | 2013.11.09 |
---|---|
[충북 보은] 거듭나는 휴게소 풍경 - 속리산휴게소의 3D입체벽화공원 (0) | 2013.10.07 |
1982년의 기록 - 강산이 세번 변한 세월을 견뎌낸 대둔산과 계룡산 산행기 (0) | 2013.08.24 |
[충남 공주] 강당 건물이 특이해서 더 기억하기 좋은 절집, 계룡산 갑사 (0) | 2013.08.23 |
[충남 공주] 조용하고 아늑한 절집, 계룡산 신원사 (0) | 2013.08.21 |
[충남 논산] 지나간 역사를 다시 생각하게 하는 개태사 - 석조여래삼존입상, 철확, 오층석탑 (0) | 2013.08.20 |
[충남 부여] 국립부여박물관 - 호자는 무엇에 쓰던 물건이었을까? (0) | 2013.08.19 |
[충남 부여] 국립부여박물관의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扶餘 陵山里寺址 石造舍利龕) (0) | 201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