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부산 대구 경상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榮州 浮石寺 無量壽殿) 

 

무량수전...

무량수전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 하나며, 기둥이 엔타시스 양식이라고 배운 기억이 난다.

엔타시스란 건물의 조화와 안정을 위하여 기둥 중간 부분의 배가 약간 부르도록 한 건축 양식을 말한다.

'무량수전 배흘림기둥에 기대서서'란 책의 제목에 나타난 것처럼 우리나라에서는 배흘림기둥으로 표현하고 있다.

 

국보 제18호(1962.12.20 지정)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148 부석사 

 

봉황산 중턱에 있는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676)에 의상대사가 왕명을 받들어 화엄의 큰 가르침을 펴던 곳이다. 『삼국유사』에 있는 설화를 보면,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유학을 마치고 귀국할 때 그를 흠모한 여인 선묘가 용으로 변해 이곳까지 따라와서 줄곧 의상대사를 보호하면서 절을 지을 수 있게 도왔다고 한다. 이곳에 숨어 있던 도적떼를 선묘가 바위로 변해 날려 물리친 후 무량수전 뒤에 내려 앉았다고 전한다. 그래서인지 무량수전 뒤에는 ‘부석(浮石)’이라고 새겨져 있는 바위가 있다.

무량수전부석사의 중심건물로 극락정토를 상징하는 아미타여래불상을 모시고 있다. 신라 문무왕(재위 661∼681) 때 짓고 고려 현종(재위 1009∼1031) 때 고쳐 지었으나, 공민왕 7년(1358)에 불에 타 버렸다. 지금 있는 건물은 고려 우왕 2년(1376)에 다시 짓고 광해군 때 새로 단청한 것으로, 1916년에 해체·수리 공사를 하였다.

규모는 앞면 5칸·옆면 3칸으로 지붕은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으로 꾸몄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한 구조를 간결한 형태로 기둥 위에만 짜올린 주심포 양식이다. 특히 세부 수법이 후세의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장식적인 요소가 적어 주심포 양식의 기본 수법을 가장 잘 남기고 있는 대표적인 건물로 평가 받고 있다. 건물 안에는 다른 불전과 달리 불전의 옆면에 불상을 모시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문화재청 자료)

 

 

 

 

 

 

무량수전 현판은 고려 공민왕의 글씨라고 한다.

 

 

 

무량수전 뒤 부석

 

 

2010.12.31(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