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광주 전라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보물 제275호)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보물 제275호)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71, 태안사 (원달리) 대안사에 있는 탑비로, 고려시대 승려 광자대사 윤다(允多)의 탑비이다. 광자대사는 대안사를 두 번째로 크게 번성케 한 스님으로, 경문왕 4년(864)에 태어나, 8세에 출가하였다. 사방을 다.. 더보기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보물 제274호)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보물 제274호) 태안사 능파각을 지나 차를 대고 일주문쪽으로 올라가니 왼쪽으로 연못이 보였다. 사진으로만 보던 그곳이다. 참 아담하고 우아하다! 연못 가운데에는 삼층석탑이 제 모습을 자랑하듯 서 있었는데, 그 아까운 모습을 애써 외면하며 다른 보.. 더보기
동리산문 개산지 곡성 동리산 태안사 곡성 동리산 태안사 구산선문 중 남한에 있는 8개는 다 보아야겠다고 마음먹었었지만 아직 한번도 접하지 않은 곳이 두 군데다. 이곳 동리산문 태안사와 경남 창원의 봉림산문 봉림사... 곡성에도 다녀간 적이 있고 창원에도 다녀간 적이 있지만 다른 곳들을 거치느라 빠뜨렸던 것... 태안.. 더보기
화순 운주사 칠성바위와 칠성바위앞칠층석탑 화순 운주사 칠성바위앞칠층석탑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1호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산8에 위치 칠성바위와 칠성바위 앞 칠층석탑 북두칠성은 농사의 풍요, 생명의 관장, 죽은 영혼이 돌아가는 별로 믿었다 한다. 원시시대 고인돌 관뚜껑, 고구려 장군총, 무용총 무덤안의 .. 더보기
화순 운주사 와형석조여래불 화순 운주사 와형석조여래불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3호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산8에 위치 세계에서 하나뿐인 유일한 형태의 와불이다. 이는 열반상(부처님이 옆으로 비스듬이 누운 상)과는 다르게 좌불(앉은 모습)과 입상(선 모습)으로 자연석 위에 조각된 채로 누워 있다... 더보기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교차문칠층석탑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교차문칠층석탑 거북바위 오층석탑과 바로 이웃한 탑으로 백제계 석탑양식을 보이고 있다.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9호이다. 너른 바위를 온통 기단석으로 해서 서 있다. 비스듬이 깎아지른 바위 위에 홈을 파서 탑을 세웠는데 그 건축 기술과 과학적 재치.. 더보기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 오층석탑 화순 운주사 거북바위 오층석탑 대웅전을 나와 서쪽 와불이 있는 쪽으로 올라가다 와불 못 미처 거북바위 위에 서 있는 신라계 석탑양식을 띤 오층석탑이다.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6호이며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산8에 위치. 2011.12.28(수) 더보기
화순 운주사 석불군 '마' 화순 운주사 석불군 '마' 대웅전 동북쪽 발형다층석탑 위로 보이는 석불군이다. 근엄하게 앉아 있는 불상이 아버지처럼 엄숙해 보이고 그 옆에 얼굴이 반쯤 떼어진 작은 불상이 응석받이 아들 부처 같다. 예전에는 기단 위의 단위에 모셔져 있었는데 훼손의 정도가 심하여 단도 사.. 더보기
화순 운주사 불사바위(공사바위) 화순 운주사 불사바위(공사바위) 불사바위는 산신각 뒤 명당탑을 지나 산 위로 잠시 오르면 만날 수 있다. 운주사 천불천탑의 공사를 감독했다고 전하는 바위이다. 영귀산 8부능선 산마루에 놓인 거대한 둥근 바위이다. 위에 오르면 운주사 탑과 불상들 그리고 먼 산들이 한눈에 발.. 더보기
화순 운주사 마애여래좌상 화순 운주사 마애여래좌상(전남 유형문화재 제275호) 거대한 바위벼랑 암벽의 요철부분을 그대로 살려 부조로 새긴 불상이다. 육계는 두툼하게 솟아있으나 머리와 이마가 거의 없고 희미한 눈썹과 귀는 양각되었으며 귓바퀴까지 음각되었다. 타원형으로 부드럽게 부조된 상호는 눈과 입.. 더보기
화순 운주사 명당탑과 사층석탑 화순 운주사 명당탑과 사층석탑 명당탑 운주사의 주산인 거북이산(영귀산) 머리 정수리에 위치한 탑으로써 넓적한 하대석에 사각형의 기단면석 위에 놓인 둥근 원반형 석탑이다. 운주사의 석질은 이렇게 시루떡처럼 잘 갈라지는 특성이 있어서 특이한 형식의 석탑 제작이 가능했.. 더보기
화순 운주사 발형다층석탑 화순 운주사 발형다층석탑 전남 유형문화재 제282호 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18 위치 스님의 밥그릇(발우)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날씬하게 솟아오른 기단면석에 놓인 넓고 둥근 초가지붕같은 기단갑석 그 위로 점차로 작아지는 육중한 원형의 옥개석(지붕돌)이 탑.. 더보기
화순운주사석조불감앞칠층석탑 화순운주사석조불감앞칠층석탑(전남 유형문화재 제278호) 2011.12.28(수) 더보기
화순운주사수직문칠층석탑 화순운주사수직문칠층석탑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7호 운주사 입구를 지나 운주사 구층석탑(보물 제796호) 오른쪽 암반 위에 있다. 암반을 지대석으로 활용하여 방형단을 만들고 그 위에 기단부를 형성하여 탑을 조성하였다. 몸돌 각 면석에는 층에 따라 가늘게 7~11개의 수직으.. 더보기
화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석탑 화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석탑(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7호) 탑신에 개성적인 교차문양을 갖고있는 날렵한 인상의 칠층석탑이다. 기단석도 잘 다듬어서 이곳으로 운반하여 그 위에 직사각형으로 돋을 새김하여 탑을 세웠다. 운주사의 탑의 기단부나 탑신부는 네 개의 직사각형 .. 더보기
화순 운주사 칠층석탑 화순 운주사 칠층석탑(전남 유형문화재 276호)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70-1 정사각형의 기단에 둥그런 원형을 둘러 그 위에 탑을 세웠다. 옥개석(지붕돌)이 육중하고 날렵해 활달한 남성적인 위용이 느껴진다. 기단석을 이렇게 반듯하게 다듬어 이곳으로 운반해 여기 꼭 이 탑을 .. 더보기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보물 제796호)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보물 제796호) 운주사로 들어가는 남쪽 골짜기의 첫 입구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커다란 바윗돌로 바닥돌과 아래층 기단을 삼고 그 위로 윗층 기단을 쌓은 후 9층에 이르는 탑신(塔身)을 세운 모습이다. 윗층 기단의 가운데돌은 4장의 널돌로 짜였으며, 네 모.. 더보기
화순 운주사 탐방(거북바위오층칠층석탑, 석불군 '바', 와형석조여래불, 칠성바위와 칠층석탑) 화순 운주사 탐방 (거북바위오층칠층석탑, 석불군 '바', 와형석조여래불, 칠성바위와 칠층석탑) 거북바위 오층석탑 거북바위 칠층석탑 거북바위 오층석탑과 칠층석탑, 석불군 '바'가 보이는 풍경 와형석조여래불 가는 길목을 지키는 시위불 와형석조여래불 와불이 있는 곳에서 수.. 더보기
화순 운주사 탐방(발형다층석탑, 명당탑, 마애여래좌상, 불사바위, 석불군 '마') 화순 운주사 탐방 (발형다층석탑, 명당탑, 마애여래좌상, 불사바위, 석불군 '마') 산신각 발형다층석탑 명당탑 마애여래좌상 불사바위 불사바위쪽으로 오르며 내려다 본 풍경 불사바위에서 내려다 본 풍경 석불군 '마' 2011.12.28(수) 더보기
화순 운주사 대웅전과 대웅전 앞 다층석탑 대웅전과 다층석탑 화순운주사대웅전앞다층석탑(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0호 )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201-1 2011.12.28(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