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광주 전라

[전남 장성] 아기단풍으로 유명한 백양사를 찾아서 2

[전남 장성] 아기단풍으로 유명한 백양사를 찾아서 2

- 장성 8경 중 제1경 백양사

 

 

백암산에 위치한 백양사는

백제 무왕 33년(632) 여환이 처음 지은 절이다.

이후 여러 차례 다시 지어지기도 하고

이름이 바뀌기도 하였는데,

지금의 백양사라는 이름은

조선 선조 7년(1574) 환양이 절을 다시 지은 이후부터이다.

환양이 절에 있으면서 매일 『법화경』을 읽을 때

흰 양이 경 읽는 소리를 듣고 몰려오는 일이 많아지자

절 이름을 백양사로 고쳤다고 한다.

지금의 절은 1917년 송만암이 고쳐 세운 것이란다.

(문화재청 자료)

 

백양사 경내에는 보물인 소요대사부도를 비롯하여

극락보전, 대웅전, 사천왕문 등의 문화재가 있고 

비자나무숲, 고불매는 천연기념물,

백암산 백학봉 일원은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

 

 

 

백양사사천왕문 (白羊寺四天王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4호

백양사의 정문인 사천왕문은

1917년 송만암에 의해 절이 크게 다시 지어질 때

5년에 걸쳐 지어졌다.

앞면 5칸·옆면 2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의 맞배지붕집이다.

가운데 칸은 문으로 사용하며,

문의 양 옆칸에는 사천왕상이 모셔져 있는데,

사천왕은 불국토의 사방을 보호하며 국가를 수호하는 신을 말한다.

문의 오른쪽에는 지국천왕과 증장천왕,

왼쪽에는 광목천왕과 다문천왕이 모셔져 있다.

(문화재청 자료)

 

 

 

 

 사천왕문을 들어서서 왼쪽으로 자리한 템플각.

더 안쪽으로는 해운각, 청운당 등이 이어진다.

 

 

 

 사천왕문을 들어서서 가운데로 종각 옆을 지나면

더 안쪽으로는 만세루(우화루)가 서 있다.

 

 

 

오른쪽으로는 설선당이 자리하고 있는데,

일반인 금지 구역...

 

 

 

 

백양사대웅전 (白羊寺大雄殿)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43호 

대웅전은 1917년 절이 다시 지어질 때 같이 세운 것으로,

안에는 석가여래삼존불상과 10척 높이의 불상,

용두관음탱화를 모시고 있다.

또한 오른쪽으로는 바늘 귀를 꿰는 모습,

등을 긁는 모습 등 우스운 모습을 하고 있는

나한의 그림 16점이 있다.

앞면 5칸·옆면 3칸 규모의 건물로,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며

규모가 큰 법당에 속한다.

2단의 긴 돌로 쌓은 기단 가운데로 계단을 두었다.

백양사 대웅전은 일제시대 초기에 지어진 건물로

조선 후기의 화려한 다포 양식에서 후퇴한 모습을 엿볼 수 있다.

(문화재청)

 

 

 

 백양사 대웅전 내부

 

 

 

대웅전 뒤편의 탑전.

비가 내리는 가운데에도 탑돌이를 하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었던...

 

 

 

 대웅전 앞에서 본 전각들 모습.

가까이에서부터 칠성각과 조사전, 극락보전, 그리고 명부전

 

 

 

 

장성백양사각진국사복구진영 (長城 白羊寺 覺眞國師 復丘 眞影)

조사전의 각진국사복구진영(왼쪽)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0호

 

장성 백양사를 세 번째로 중창한 각진(覺眞)국사 복구(復丘)의 진영으로

조선시대 후기, 1825년에 제작되었다.

각엄(覺儼, 1270-1355)은 휘(諱, 法名)는 복구(復丘),

자호(字號)는 무언수(無言叟), 시호는 각진(覺眞)국사이다.

월남사와 송광사에도 40여년간 주석하며

수선사 제13세 조사로서 대중을 지도하였고

정토사를 중창하였다.

이 진영은 화기에 따르면

1825년(道光 5년)에 선운사 내원암에서 조성하여

 백양산 정토사(현재 백양사)로 이안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을 그린 화승은 장유이다.

(문화재청 자료)

 

 

 

 대웅전 앞에서 본 우화루(만세루)

 

 

 

백양사극락보전 (白羊寺極樂寶殿)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2호 

극락보전은 조선 선조 7년(1574)에

한응선사가 지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확실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조선사찰사료』를 보면 건물을 지을 때

조선 중종의 비인 문정왕후가 참여했음을 알 수 있다.

앞면 3칸·옆면 4칸 규모로,

지붕 옆면이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집이다.

지붕을 받치면서 장식을 겸하는 공포는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는 다포양식이다.

건물 내부에는 담담한 기법으로 처리한 단색벽화가 있다.

백양사 극락보전은 경내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로,

맞배지붕을 가진 건물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다포양식으로 절충해 지은 점이 특이하다.

(문화재청)

 

 

 

장성백양사극락보전목조아미타여래좌상 (長城 白羊寺 極樂寶殿 木造阿彌陀如來坐像)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9호 

이 불상은 2005년 2월 발견된 복장물에서

1741년(영조 17) 명부전의 시왕상 중수와 함께

개금불사를 시행했다는 복장기(26×129cm)와

1978년 개금 불사를 시행했다는 중수기문도 함께 발견되었다.

백양사 극락보전 목조 아미타여래좌상은 2m가 넘는 대형으로

17세기 전반에 제작된 작품으로 보인다.

양식적으로는 1634년에 제작된 선운사 대웅전 삼세불상이나

귀신사 대적광전의 삼신불상과 유사한데,

선운사 불상은 17세기 전반의 조각승 법해(法海)에 의해서 제작된 작품이다.

백양사의 아미타불상도 이 계통일 가능성이 있다.

이 불상은 규모가 크고 조각품으로서도 우수한 작품이다.

또 17세기 전반에 제작된 불상은 많지 않아서

그 시대의 양식을 보여준다.

(문화재청)

 

 

 

 장성백양사극락전아미타회상도 (長城 白羊寺 極樂殿 阿彌陀會相圖) (성보박물관)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1호

백양사 극락전의 아미타회상도는 1775년에 제작된 대형 후불탱화이다.

전체적으로 화면의 구성이나 색감이 18세기 후반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수작이다.

또 이 불화를 그린 수화승 색민은

1757년 화엄사 대웅전의 삼신불화중 석가여래도를 그린 작가로,

이 삼신불화는 보물 제 1363호로 지정되어 있어 뛰어난 작가이다.

(문화재청)

 

 

 

명부전 앞에서 바라본 우화루(만세루)

 

 

 

 장성백양사고불매 (長城白羊寺 古佛梅) 

천연기념물 제486호

이 매화나무 고목은 매년 3월 말경에 진분홍빛 꽃을 피우는 홍매(紅梅)종류로서,

꽃 색깔이 아름답고 향기가 은은하여 산사의 정취를 돋운다.

아래부터 셋으로 갈라진 줄기 뻗음은 고목의 품위를 그대로 갖고 있으며

모양도 깔끔하여 매화 원래의 기품이 살아있다.

대체로 1700년경부터 스님들은

이곳에서 북쪽으로 100m쯤 떨어진 옛 백양사 앞뜰에다

여러 그루의 매화나무를 심고 가꾸어 왔다고 한다.

1863년 절을 이쪽으로 옮겨 지을 때,

그때까지 살아남은 홍매와 백매 한 그루씩도 같이 옮겨 심었다.

그러나 백매는 죽어 버리고 지금의 홍매 한 그루만 살아남았다.

1947년 부처님의 원래의 가르침을 기리자는 뜻으로

백양사 고불총림을 결성하면서 고불매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부르게 된 나무로

역사성과 학술적인 가치가 크다. 

(문화재청) 

 

 

 

백양사 고불매

 

 

 

 

백양사 고불매

 

 

 

 

여러 전각들이 모여 있는 이곳은 일반인 입장금지 구역...

 

 

 

 

 

 

이곳은 일반인 금지 구역...

 

 

 

마지막 가는 가을을 장식하는 고운 단풍...

 

 

 

 

 

 

비가 내리는 가운데에도

백학봉, 약사암 가는 길에는 사람들이 오가고...

곡물은 친구가 된 낙엽으로 가득하여 심심치 않겠네...

 

 

 

 

 장성 백양사 비자나무 숲 (長城 白羊寺 비자나무 숲)

천연기념물 제153호

 

 

비자나무는 우리나라의 내장산 이남과 일본 등에서 자란다.

나무의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많이 이용되며,

열매는 구충제 및 변비 치료제나 기름을 짜는데 쓰인다.

백양사 비자나무 분포 북한지대는

전라남도 장성의 백양사(白羊寺) 주변에 8∼10m에 달하는

비자나무 5,000여 그루가 숲을 이루고 있는 곳이다.

이 숲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당시에는

비자나무가 자라는 가장 북쪽에 있는 숲이라고 해서 그 가치를 인정받았으나,

현재는 이 지역보다 더 북쪽에 있는 내장산에서도 비자나무 숲이 발견되었다.

이 숲이 형성된 유래는 고려 고종(재위 1213∼1259) 때

각진국사(覺眞國師)가 당시 유일한 구충제였던 비자나무 열매로

가까운 마을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절 주변에 심었다고 하며,

실제로 1970년대까지도 스님들은 열매를 거두어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백양사 비자나무 분포 북한지대는

우리 선조들이 비자나무 열매를 의약재료로 사용한

생활문화의 일면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서의 가치가 매우 크다.

또한 비자나무가 자랄 수 있는 북쪽 한계지역에 있는 대표적인 숲이므로

식물분포학적 가치가 인정되어 천연기념물로 지정·보호하고 있다.

(문화재청)

 

 

 

쌍계루

 

 

 

쌍계루에는 정몽주, 김인후, 송순, 서옹 스님 등의

현판 180여 작품이 있다.

 

 

 

 

 

 

 

 

 

쌍계루

 

 

 

 

찻집 주변도 가을향기로 가득하다.

 

 

 

쌍계루 앞 연못

 

 

 

 

 

 

 

 

 

연못에 비친 쌍계루

 

 

 

 

장성 백양사 백학봉 (長城 白羊寺 白鶴峰)

명승 제38호

 

『장성 백양사 백학봉』은 장성군 백암산에 위치한 백양사와 백학봉 일대로,

백양사 대웅전과 쌍계루에서 바라보는 백학봉의 암벽 및 식생 경관이 매우 아름다워

예로부터 대한 8경의 하나로 꼽혀왔을 만큼 이름난 곳이다.

백양사가 위치한 백암산은 내장산과 함께 단풍이 특히 유명하며,

천연기념물 제153호인 “백양사 비자나무 분포 북한지대”를 비롯하여

1,500여종의 다양하고 풍요로운 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자연자원의 보고라 할 만하다

백양사는 백양사 창건 역사를 전하는 정도전의 <정토사교루기>를 비롯하여

목은 이색, 포은 정몽주, 하서 김인후, 사암 박순, 면앙정 송순 등

고려말부터 조선시대까지 많은 유명인사들이 이곳을 탐방하여

백학봉과 쌍계루의 풍광을 읊은 시와 기문을 남기는 등

예로부터 자연경관이 뛰어나기로 유명한 명승지이다.

특히, 백양사 대웅전 기와지붕과 어우러지는 백학봉과

쌍계루 앞 연못에 비치는 쌍계루와 백학봉의 자태는

탄성이 절로 나올 정도로 경관이 뛰어나

지금도 많은 사진작가들이 찾는 곳으로 유명하다.

 

(문화재청)

 

 

백양사를 떠나려는데,

때마침 봉우리를 살짝 보여주었던 백학봉...

아쉬움을 조금이나마 달랜다.

 

 

 일행이 만나기로 한 성보박물관 앞...

 

 

 

 수석관

 

 

 

 수석관의 수석 작품...

 

 

 

성보박물관 앞 감나무...

 

 

 

아름다운 풍경을 연출해 주었던 감나무...

백양사의 단풍이 조금 아쉬웠던 반면에

백양사의 이 명품 감나무가 그 갈증을 조금이나마 해소해 주었다.

 

 

2015.11.14(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