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 황금빛 까마귀가 나는 모습에서 이름 지어졌다는 금오산
금오산은 구미시와 김천시, 칠곡군에 걸쳐 있는 산으로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고 수려한 경관도 대부분 구미시에 속하여
일반적으로 구미 금오산으로 통한다.
금오산이라는 이름은 어느 날 이곳을 지나던 아도 화상이
태양의 정기를 받은 명산이라 한데서 비롯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금오산 홈페이지에 아래와 같은 내용의 영상 자료가 있어서 내용을 옮겨 본다.
“금오산엔 천년의 달이 떠 있고
낙동강엔 파도가 만리나 출렁이는구나.
저 고기잡이배는 어디로 가는가.
옛날과 마찬가지로 갈대밭에서 쉬는구나”
“부처님을 닮은 산세를 보니 이산은 참 명산이로다.”
“허! 태양의 정기인 삼족조 까마귀를 여기서 보다니......”
“그래 이산을 이제 금오(金烏)라고 불러야겠다.”
“ 금오산(金烏山)”
금오산은 원래 이름은 대본산(大本山)이었다고 하며
고려 때에는 남숭산(南嵩山)이라 했단다.
고려 문종(文宗)은 왕자를 출가시켜 이 산에서 수도하게 하였고,
훗날 대각국사(大覺國師)로 봉하여 호국불교로 포교와 국정의 자문에 임하도록 했단다.
1970년 6월1일 우리나라 최초의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단다.
(금오산 홈페이지 자료)
금오산 케이블카 타는 곳을 향하여...
금오산성 사적비도 만났다.
구미는 자연보호운동발생지...
금오산 케이블카 타는 곳.
여행비에 케이블카 왕복 탑승료가 포함되어 있어서 타게 된다.
하긴 걸어서 올라가려면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될 테니......
산으로 오르는 케이블카를 바라본 풍경.
오후의 햇살이 따사로워 보인다.
단풍으로 물들어가는 금오산의 모습
앞으로 보이는 산 위에 금오산성이 있다는 설명이 흘러나온다.
산으로 더 오르면 금오산성도 만나겠지만
우리는 산행을 하는 것이 아니어서 아쉬움을 가지며...
케이블카에서 내려 해운사 가는 길...
해운사
해운사는 케이블카 바로 근처에 자리하고 있다.
지장보궁의 뒷모습
가파른 담장 위에 자리한 범종각이 보인다.
좁은 마당에선 포대화상도 웃음기 띤 얼굴로 맞이한다.
좁은 공간을 이용하려니 대웅전이 저리 높이 있다.
좁은 터에 높이 솟은 대웅전과 뒷편의 도선굴
대웅전 내부
작은 범종각
지장보궁
대웅전 옆에서 바라본 범종각
해운사에서 도선굴 쪽을 올려다본 모습
해운사 축대에는 나옹선사의 시가 쓰여 있다.
청산은 나를 보고 말없이 살라 하고
창공은 나를 보고 티없이 살라 하네
.
.
.
무념무상의 마음을 지니기란 쉬운 일이 아닐 터~~~
해운사를 둘러본 후 대혜폭포로 가게 된다.
주위는 가을이 여물어가는 풍경으로 변하고 있었다.
대혜폭포가 보인다.
작은 물줄기에 눈길 한 번 주고...
대혜폭포에 도착.
아주 오래전에 이곳을 방문했었는데,
그때는 명금폭포라고 불렀던 기억이 난다.
폭포 옆으로 정상 가는 길이 있다.
최정상부는 이때까지 막혔던 곳인데, 이날부터 개방을 했다고 한다.
아쉽게도 우리는 갈 수 없는 상황...
금오산 정상(현월봉, 976m)
금오산 도립공원은 기암괴석과 숲이 절경을 이루고 있으며
연간 300만명이 넘는 탐방객이 찾는 곳이라고 한다.
그동안은 금오산 현월봉에 올라가더라도 실제 정상을 밟지 못했었는데,
구미시가 현월봉에 설치된 미군 통신기지 중 정상 부분을 돌려받아 정비를 하고,
이날 개방을 했단다.
이번 개방은 1953년 11월 한·미행정협정에 따라 금오산 정상에 미군 통신기지가 들어서면서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된 이후 61년 만이란다.
대혜폭포
대혜폭포 앞에서 인증샷 하나 남기고...
시원한 물줄기가 스트레스를 싸악 가시게 한다.
중학교 절친과 함께 왔었던 옛 추억을 한 번 더듬어본다.
폭포수는 긴긴 시간을 끊임없이 흘러내리고
우리는 중년이라는 이름으로 인생길을 달려가고 있다.
떨어지는 물줄기를 뒤로 하고 도선굴로 향한다.
주변의 기이한 암석을 보며...
도선굴
도선굴에 대한 설명도 한 번 읽어 본다.
도선굴 가는 길.
바위를 다듬은 듯한 좁은 길이 난 모습으로
한 발자국씩 오를 때마다 오금이 저릴 듯한 느낌...
예전에도 울면서 갔었지...
도선굴 옆의 돌산...
구미공단과 낙동강하며 멀리 해평의 냉산등도 한 눈에 들어오는 조망이라,
그 후 언제부터 도선굴 이라고 불렀는지는 알 수 없으나
도선굴
도선굴에서 바깥쪽을 바라본 풍경
도선굴에서 바라본 구미
도선굴 주변 철난간과 옆의 돌산 모습
도선굴 아래로 해운사가 보이는 풍경
도선굴에서 내려가며...
케이블카 하차장에서 금오산을 바라본 모습
금오산 입구의 광장에서는 축제가 열리고 있었다.
행복 나눔 박람회라는 이름으로 축제가 열리던 날의 금오산...
10월에는 가는 곳곳마다 축제로 북적이는 모습이었다.
10월 내내 결실을 맺은 모습들을 많이 보았는데,
어느새 곁에는 가을이 떠나가고 있다.
2014.10.25(토)
'방랑, 그 흔적들-국내 > 부산 대구 경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북 상주] 2014 감고을 상주 이야기 축제장 풍경 (0) | 2014.12.20 |
---|---|
[경북 상주] 우리나라의 가장 오래된 저수지 중 하나로 알려진 상주 공검지(공갈못) (0) | 2014.12.19 |
[경북 포항] 부모님과 함께 오어사 나들이 (0) | 2014.12.18 |
[경북 구미]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 (0) | 2014.11.29 |
[경북 김천] 아도 화상이 개창했고 사명대사가 출가한 사찰, 직지사 2 (0) | 2014.11.18 |
[경북 김천] 아도 화상이 개창했고 사명대사가 출가한 사찰, 직지사 1 (0) | 2014.11.17 |
[경북 김천] 직지문화공원 (0) | 2014.11.16 |
[경북 안동] 세계유산 안동하회마을 (安東河回마을) 3 (0) | 201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