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부산 대구 경상

대구 근대문화골목 투어 : 이상화고택

 

대구 근대문화골목 투어 : 이상화고택

 

 

이상화(1901~1943)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일제강점기에 이 민족시를 발표하여 민족정신을 드높인 애국시인 이상화.

본관은 경주이며, 호는 무량(無量)·상화(尙火 : 또는 想華)·백아(白啞)이다.

7세 때 아버지를 여의고 가정 사숙(私塾)에서 큰아버지께 교육을 받았다.

1916년 경성중앙학교에 입학해 1919년 수료하고, 강원도 일대를 방랑했다.

3·1운동이 일어나자 대구학생운동에 참여하고 백기만과 함께 거사하려다 사전에 발각되어 잠시 서울에 피신.

1921년 현진건의 추천으로 〈백조〉 동인에 가담했고,

1922년 프랑스 유학을 목적으로 도쿄로 건너가 아테네 프랑세에서 프랑스 문학을 공부하다 관동대지진으로 귀국.

1925년 박영희·김기진 등과 함께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KAPF)에 참여했고,

1927년 대구로 돌아왔으나 여러 번 가택수색을 당했으며 의열단 이종암사건에 말려들어 구금되기도 했다.

1937년 중국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친형인 이상정 장군을 만난 이유로 5개월 정도 옥살이했다.

1934년 〈조선일보〉 경상북도총국을 경영했으나 실패하고,

1937년 이후 교남학교에서 영어와 작문을 가르쳤는데,

이때 "피압박 민족은 주먹이라도 굵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교남학교에 권투부를 신설했다.

1940년 학교를 그만두고 독서와 연구에 몰두하며 〈춘향전〉을 영역하고

〈국문학사〉·〈불란서 시 평석〉 등을 기획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위암으로 죽었다.

1946년 경상북도 대구 달성공원에 상화시비가 세워졌다.

 

이 고택은 이상화 시인이 말년 4년을 보낸 곳이다. 

 

계산성당 뒤를 돌아 이상화, 서상돈 고택 가는 길...

높은 빌딩, 아파트가 들어서 있는 주변 골목 끝에 두 집이 마주보고 있다.

 

이정표

 

 

 

 

이 집은 이상화 시인이 생애 마지막 4년(1940~1943)을 보낸 곳이라고 한다.

 

 

 

 

 

 

 

 

 

 

 

 

 

 

비가 부슬부슬 을씨년스럽게 내리던 날, 친구들과 우산 받쳐 들고 찾았던 이상화 고택

 

 

2012.01.19(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