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쌍봉사대웅전목조삼존불상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51호
화순 쌍봉사에 모셔져 있는 목조삼존불좌상으로서 앉은 모습의 석가여래상을 중심으로 가섭존자와 아난존자가 양옆에 서있는 특이한 형식의 삼존불상이다. 쌍봉사는 우리나라 현존 유일의 3층 목탑식 전각이어서 보물로 지정되어 보호하여 왔으나 1984년 불에 타 다시 지었다. 불이 난 당시 다행히도 목조삼존불좌상은 화를 입지 않았다.
가운데 모셔져 있는 석가여래상은 약간 앞으로 고개를 숙이고 있는 모습으로 얼굴은 사각형에 가까우며 머리는 소라모양의 나발이다. 붉은 입술에 미소를 머금고 있으며 귀는 크고 두툼하다. 양어깨를 감싼 옷은 두툼한 느낌을 준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펴서 자연스럽게 무릎 안쪽에 올려 놓고 있으며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구부려 오른발바닥 위에 놓은 모습을 하고 있다. 석가여래상의 양옆에 서있는 가섭존자와 아난존자는 두 손을 가슴에 모아 합장하고 있다.
가섭·아난존자와 함께 조선 숙종 20년(1694)에 만들어진 석가여래좌상은 조성 수법이나 형식에 있어서 조선 후기 불상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만들어진 연대가 확실하여 연대를 알 수 없는 다른 조각상의 표준이 되는 것으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문화재청)
가운데 모셔져 있는 석가여래상은 약간 앞으로 고개를 숙이고 있는 모습으로 얼굴은 사각형에 가까우며 머리는 소라모양의 나발이다. 붉은 입술에 미소를 머금고 있으며 귀는 크고 두툼하다. 양어깨를 감싼 옷은 두툼한 느낌을 준다. 오른손은 손바닥을 펴서 자연스럽게 무릎 안쪽에 올려 놓고 있으며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구부려 오른발바닥 위에 놓은 모습을 하고 있다. 석가여래상의 양옆에 서있는 가섭존자와 아난존자는 두 손을 가슴에 모아 합장하고 있다.
가섭·아난존자와 함께 조선 숙종 20년(1694)에 만들어진 석가여래좌상은 조성 수법이나 형식에 있어서 조선 후기 불상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만들어진 연대가 확실하여 연대를 알 수 없는 다른 조각상의 표준이 되는 것으로 그 가치가 매우 크다. (문화재청)
1984년 불이 나서 대웅전은 소실되었으나 이 삼존불상은 한 농부에 의해 옮겨져 화를 면했다고 한다.
목조삼존불상이 안치된 대웅전
2011.12.28(수)
'방랑, 그 흔적들-국내 > 광주 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보물 제170호) (0) | 2012.01.20 |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국보 제57호) (0) | 2012.01.20 |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보물 제1726호) (0) | 2012.01.20 |
화순쌍봉사극락전목조아미타여래좌상 (0) | 2012.01.20 |
화순 쌍봉사 (0) | 2012.01.20 |
화순 쌍봉리 충신각과 풍영정 주변 (0) | 2012.01.16 |
보성 문익점부조묘(20111228) (1) | 2012.01.15 |
장흥 보림사 동 승탑(=보림사 동부도, 보물 제 55호, 20111227) (0) | 2012.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