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2.21 강화도
강화도로. 버스 두 대에 나눠 타고 간식도 먹고 수다도 떨며... 가는 길 주변, 많이 발전된 모습... 초지대교가 생겨 강화도 접근이 더 쉬워졌다.
광성보... 쌍충비, 용두돈대, 손돌목돈대 등 한 바퀴. 겨울답지 않은 포근함에 나들이하는 발걸음이 무척 가벼웠다.
전등사로. 전등사 대웅전 처마 끝엔 벌 받는 여인의 모습이 사방 돌아가며 있어 의아심을 갖게 한다. 나부라고도 하고 원숭이라고도 하는 두 가지 설이 있으나 나부상이라는 의견이 더 많단다. 전설에 의하면 당시 나라에서 손꼽히는 도편수가 대웅보전 건축을 지휘하고 있었는데, 고향에서 멀리 떠나온 그는 공사 도중 한 주막을 드나들며 그곳 주모와 눈이 맞았다. 사랑에 눈이 먼 도편수는 돈이 생길 때마다 주모에게 모조리 건네주었고, 불사를 끝내면 살림을 차릴 생각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공사 막바지에 이른 어느 날 여인은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도편수는 여인에 대한 배반감과 분노 때문에 일손이 잡히지 않았고 잠도 오지 않았으나 마음을 다잡고 대웅전 공사를 마무리했고, 공사가 끝나갈 무렵 대웅전의 처마 네 군데에는 벌거벗은 여인이 지붕을 떠받치는 조각이 만들어졌다고 한다.
정족산성 한 바퀴. 복원된 정족산사고를 지나 삼랑성 정상으로. 정상이 가까워지자 하늘이 가까이에 잡힐 듯 다가왔다. 마음이 탁 트인 느낌... 구름이 드리워진 마니산도 보고, 사진도 한 컷. 정상에서 한참이나 머물며 상큼한 공기를 한껏 들이마셨다. 역시 도회의 오염된 공기와는 질이 다름을 느끼고... 하산. 산성 길 밟지 않고 경내 찻집에 머물던 동료들과 합류.
외포리로. 바다... 갈매기... 바다 위로 지는 석양... 시원한 바람... 바닷가 횟집에선 모든 게 회 위주. 양이 너무 많아서 우리 팀은 다 먹지도 못하였다. 매운탕이 얼큰하니 속을 풀어주어서 좋았다.
석모도... 외포리에서 배를 타고 석모도에 한 번 들어가고 싶었다. 오랜 전 가족과 함께 들렀던 추억의 민박집과 보문사가 생각났기 때문.서울로. 기사분이 영화 '밀양'을 틀었지만 보다가말다가... 모두들 얘기하거나 자거나... 노래 부르라든가 하는 일이 없어서 넘 좋았다. 서울에 도착한 후 우리 팀은 2차로 뒷풀이하러 유객주에 갔다. 사정이 있어 못 간 사람들 합류하고... 맥주 피쳐 2000cc 시켜서 한 잔씩 나눠 마시고 얘기 나누다가 10:30 집으로.
[광성보]
고려가 몽고 침략에 대항하기 위하여 강화로 도읍을 옮기면서 1233년부터 1270년까지 강화외성을 쌓았는데, 이 성은 흙과 돌을 섞어서 쌓은 성으로 바다길을 따라 길게 만들어졌다. 광해군 때 다시 고쳐 쌓은 후 효종 9년(1658)에 광성보가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숙종 때 일부를 돌로 고쳐서 쌓았으며, 용두돈대, 오두돈대, 화도돈대, 광성돈대 등 소속 돈대가 만들어졌다.
영조 21년(1745)에 성을 고쳐 쌓으면서 성문을 만들었는데 ‘안해루’라 하였다. 이곳은 1871년의 신미양요 때 가장 치열한 격전지였다. 이 전투에서 조선군은 열세한 무기로 용감히 싸우다가 몇 명을 제외하고는 전원이 순국하였으며 문의 누각과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이 파괴되었다.
1976년 다시 복원하였으며, 광성보 경내에는 신미양요 때 순국한 어재연 장군의 쌍충비와 신미순의총 및 전적지를 수리하고 세운 강화전적지, 수리한 것을 기록한 비석 등이 건립되었다.
이곳에는 군선 5척과 별장 아래에 군관 29인·군병 100명·돈군 18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1874년에 만든 오두정 포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1871년 신미양요 때 최대의 격전지였다. 이해에 통상을 요구하며 침입한 미국 함대가 강화 해협을 거슬러 올라오는 것을 광성(廣城)·초지(草芝)·덕진(德津)·덕포(德浦)등의 포대에서 일제히 사격을 가하여 물리쳤으나, 4월 23일에 450명의 미국 해병대가 초지진에 상륙하여 진을 점령하였다. 이튿날 미군이 북상하여 덕진진을 함락시키고, 이어서 광성보로 쳐들어왔다. 미국 극동 함대는 9인치 포와 8인치 포 등 약 80문(門)의 함포로 지원사격을 하였으며, 광성보를 지키던 중군장(中軍將) 어재연(魚在淵)을 위시하여 그의 아우 어재순(魚在淳)·군관 이현학(李玄學)·어영초관(御營硝官) 유풍로(柳豊魯)·천총(千摠) 김현경(金玄暻)·광성별장(廣城別將) 박치성(朴致誠) 이하 49인의 장사와 200여명의 군사가 전사하고, 20여명이 부상하였다.
이 전투에서 조선군은 열세한 무기로 분전하다가 중상으로 기동이 어려운 몇 명을 제외하고는 전원이 순국하였다. 이 싸움에서 미군은 맥키 중위를 위시하여 3명이 전사하고 10여명이 부상하였다. 이때 성첩과 문루가 파괴된것을 1976년에 복원하는 동시에 당시 전사한 무명용사들의 무덤과 어재연·어재순 형제의 쌍충비각(雙忠碑閣)을 보수, 정비하였다. 이곳에는 어재연장군의 전적비가 남아 있다.
[전등사]
[정족산성]
'방랑, 그 흔적들-국내 > 서울 인천 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05.01(목) 초안산 (0) | 2008.05.07 |
---|---|
2008.04.19(토) 태릉 배밭 (0) | 2008.04.20 |
2008.04.17(목) 다락원캠프장 (0) | 2008.04.20 |
2008.04.09(수) 여의도 벚꽃 (0) | 2008.04.16 |
2007.10.27 동두천 소요산 (0) | 2008.04.09 |
2007.08.21 파루모임(호암미술관, KBS) (0) | 2008.04.09 |
2007.08.20 파루모임(에버랜드) (0) | 2008.04.09 |
2007.06.16 분당 산우물모임 (0) | 2008.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