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쌍영총 벽화. 적외선 촬영으로 고구려 쌍영총 벽화를 재현하는 모습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검진 과정: 실측-현미경 점검-X선 형광분석기로 분석-CT촬영-안전성 평가
'빛의 과학-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에서는
소중한 우리 문화재의 보존과 복원 작업을 위해
손상된 문화재를 전통기술과 현대 과학기술을 접목시키는 작업을 거쳐
본래의 모습을 찾도록 하고 있다.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엑스선 같은 보이는 빛과 보이지 않는 빛을 이용하여
문화재의 숨겨진 비밀을 밝혀 내고,
컴퓨터 단층촬영기(CT)와 Nano-CT 같은 첨단 장비가 도입되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부분까지 분석·관찰해서
문화재 속 숨어 있는 중요한 역사적 사실까지 규명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한다.
이제 그 빛의 세계로 들어가본다.
국립중앙박물관 입장 구역. 으뜸홀으뜸홀 천장으뜸홀. 코로나19로 인해 예약을 받고 있다. '빛의 과학-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전은 현장(바깥 매표소)에서 입장권 구매.1층 중앙 복도. 원랑선사 탑비와 경천사 십층석탑이 중앙 복도에 세워져 있다.'빛의 과학' 전시는 입장권을 따로 끊고 들어가는 곳이라 외부 매표소에서 표를 끊고 들어옴(현장 발매)1층 상설전시관 내 특별전시실에서 '빛의 과학-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 전시 중~(연장하여 2021.02.14까지)'빛의 과학-문화재의 비밀을 밝히다' 전시장 입구전시 내용 안내
특별전시실에 들어서면 영상 작품이 먼저 반겨준다.
18세기 전반의 회화 작품(물고기 무리가 헤엄치고 있는 작품)과
그것을 소재로 한 영상.
액자 밖에서는 가시광선, 액자 안에서는 적외선, 자외선, 엑스선으로 비추어진 모습.
조선 18세기 전반의 작품
김인관 作 '물고기' 영상
18세기 회화작품을 소재로 영상
빛의 종류와 파장. 문화재 복원에 엑스선, 자외선, 적외선 등을 이용함.
X선 형광분석, 컴퓨터 단층촬영 등을 이용해서 조사함1. 유리구슬(백제 6세기. 무령왕릉 출토), 2. 국보 제193호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중 유리잔(신라 5세기))X선 형광분석을 이용해서 조사함앵무조개 잔(오른쪽은 재현품)과 단면(오른쪽은 재현품)비단벌레 박제표본금동 비단벌레 말 안장 가리개 (재현품)비단벌레 장식품비단벌레 장식나전 칠 상자활옷. 조선시대의 여자 예복으로 가례 때 착용시대: 낙랑 1세기. (조사 분석: X선 조사, X선 형광분석, SEM-EDS)국보 제89호 금제 허리띠 고리. 시대: 낙랑 1세기. (조사 분석: X선 조사, X선 형광분석, SEM-EDS)국보 제91호 금 귀걸이. 시대: 신라 6세기 (조사 분석: 실체현미경, X선 형광분석, SEM-EDS)
적외선으로 밝혀낸 논어 목간적외선으로 밝혀낸 구구단 목간백자 백유 평상인물. 자외선 조사로 수리된 부분 조사. 청자 상감 국화무늬 병. 자외선 조사로 수리된 부분 조사. CT 3D 이미지와 CT 단면 이미지국보 제91호 기마 인물형 토기. 시대: 신라 6세기의 토기 (X선,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내부 구조까지 알아냄)국보 제91호 기마 인물형 토기청자 어룡모양 주자(국보 제61호)와 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국보 제95호)청자 투각 칠보무늬 향로(국보 제95호,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알아봄)와 청자 어룡모양 주자(국보 제61호) X선 조사,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속까지 알아냄청자 상감 모란 넝쿨무늬 표주박모양 주자(국보제116호)와 청자 상감 매화 대나무 물가풍경무늬 표주박모양 주자청자 상감 매화 대나무 물가풍경무늬 표주박모양 주자와 청자 상감 모란 넝쿨무늬 표주박모양 주자(국보제116호)다양한 연적들을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내부와 물길까지 알아냄연적 (백자 금강산모양 연적, 백자 투각 새 용무늬 연적)연적(백자 투각 구름 용무늬 연적, 백자 청화 철채 산모양 연적)백자 투각 구름 용무늬 연적. 내부 구조와 물길을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알아냄금장식 철제 모자 환두 소도와 금장식 철제 환두 소도비격진천뢰.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내부 구조를 확인함.백자 양각 매화무늬 계영배, 백자 양각 쌍학무늬 계영배와 백자 양각 거북이모양 계영배, 백자 양각 매화무늬 계영배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다양한 계영배들의 원리를 알아냄컴퓨터 단층촬영으로 계영배의 모습을 알아냄
고구려 5세기 후반 쌍영총 벽화왼쪽 그림은 쌍영총 널길 동벽 벽화편의 적외선 촬영 이미지쌍영총 널길 동벽 벽화 재현세월이 흘러 희미해진 벽면을 1500년이 지난 후 적외선 촬영. 쌍영총 널길 동벽 벽화편의 이미지가 나타남.적외선 촬영으로 고구려 쌍영총 벽화가 깨어남아래는 개마총 벽화편들. 왼쪽 위는 천인상과 행렬도 적외선 이미지, 오른쪽 위는 삼족오 적외선 이미지천인상과 행렬도 적외선 이미지삼족오 적외선 이미지(조사 분석: X선 조사, 적외선 촬영, X선 형광분석)경복궁 교태전 부벽화: 필자미상 화조도, 필자미상 원후반도도 (시대: 19세기 조선)필자미상 화조도 (시대: 19세기 조선)필자미상 원후반도도 (시대: 19세기 조선)필자미상 파상도도 (조사 분석: X선 조사, 적외선 촬영, X선 형광분석으로 알아봄)살펴보고 확인하는 과정 체험문화재 조사에 이용되는 다양한 도구들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방사선으로 비파괴 조사를 해서 재질 및 기타 상태를 알아냄.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 검진 과정: 실측-현미경 점검-X선 형광분석기로 분석-CT촬영-안전성 평가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실측 상황소조보살입상(X선 형광분석과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문화재의 정보를 알아냄)건칠관음보살좌상(편광현미경, X선 형광분석,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문화재의 정보를 알아냄)목조여래좌상 (X선 형광분석, 컴퓨터 단층촬영으로 문화재의 정보를 알아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