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 사적 제431호 홍성 의사총 (洪城 義士塚) = 홍주 의사총
오관리 당간지주와 그리 멀지 않은 곳에 홍성 의사총이 있다.
이곳은 한말 홍주성 전투에서 희생된 의병들의 유해를 모신 곳이다.
1905년 을사조약을 반대하는 의병활동이 이 지역에서도 일어났던 것...
일본군의 대포 공격으로 전사자들이 많이 생겼지만
호국 의지만은 후세에 길이 남을 것이다.
구백의총~홍주 의사총~홍성 의사총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사적 제 431호
충남 홍성군 홍성읍 의사로 79 외 (대교리)
아래는 문화재청 설명 자료이다.
한말 홍성군 지역에서 있었던 의병활동 가운데 홍주성 전투에서 희생된 수백 의병들의 유해를 모신 묘소이다.
1905년 일본과의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각지에서 의병활동이 일어났는데, 충청남도 홍성지방에서는 이조참판 민종식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이 전개되었다. 1906년 고종 황제의 명을 받아 의병을 모아 남포와 보령에 있는 일본군을 습격하여 병기를 탈취하였으며, 3월 20일에는 홍주성을 함락시켰다. 그러나 일본군의 대포 공격이 본격화되면서 의병 수백명이 전사하여 시체가 홍주천변과 남산 일대에 흩어져 방치되었다가 1949년에 항일의병의 유골임이 밝혀져 이곳에 모셔졌다. 홍주의병의 핵심적 연구자료인 <홍양일기>. <홍양기사>, <조선최근사> 등의 자료를 종합해 볼 때, 홍주성 전투에서 희생된 의병 전사자는 최소한 98인, 많게는 수백이라는 기록이 확인되었다.
묘는 봉분 아랫부분에 둘레석을 둘렀고, 묘의 오른쪽에는 정인보가 짓고 심상직이 쓴 묘비가 있으며, 좌우에는 망주석 1쌍이 세워져 있다. 사당인 창의사(彰義祠)에 900의사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어 구백의총이라 했던 것을 1992년 홍주의사총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매년 5월 30일 순국의사 추모제를 올리고 있으며, 을미의병으로부터 연면히 계승되어 온 한말 홍주의병의 호국정신을 기리는 중요한 유적이다. (문화재청)
2012.06.17(일)
'방랑, 그 흔적들-국내 > 대전 충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성] 홍주성수성비 (洪州城修城碑) (0) | 2012.07.14 |
---|---|
[홍성] 광경사지석불좌상 (廣景寺址石佛座像) (0) | 2012.07.14 |
[홍성] 광경사지삼층석탑 (廣景寺址三層石塔) (0) | 2012.07.13 |
[홍성] 등록문화재 제272호 홍성고등학교 강당 (洪城高等學校 講堂) (0) | 2012.07.12 |
[홍성] 홍성 오관리 당간지주 (洪城 五官里 幢竿支柱) = 홍성 동문동 당간지주 (洪城 東門洞 幢竿支柱) (0) | 2012.07.12 |
[홍성] 안회당 뒤뜰의 아담한 정자 여하정 (0) | 2012.07.11 |
[홍성] 홍성군청 내 홍주목의 동헌인 안회당 (0) | 2012.07.10 |
[홍성] 홍성군청 내 홍성 오관리 느티나무 (0) | 2012.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