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서울 인천 경기

[서울] 잠실 석촌호수와 매직아일랜드 풍경

 

잠실 석촌호수와 매직아일랜드 풍경

 

 

인간문화재 한유성옹을 기리는 한유성길

이 길은 석촌호수 서호 송파놀이마당 건물에 연한 길이다.

고 한유성은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제49호인 송파산대놀이와 서울특별시지정 무형문화재 제3호인 송파다리밟기놀이의 인간문화재였다. 

송파구에서는 고인의 뜻을 기리기 위해 이 길을 한유성길이라 명명했단다.

 

 

산대놀이란 중부지방의 탈춤을 가리키는 말이다. 송파산대놀이는 서울·경기 지방에서 즐겼던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의 한 갈래로 춤과 무언극, 덕담과 익살이 어우러진 민중의 놀이이다. 이 놀이는 매년 정월 대보름과 단오·백중·추석에 명절놀이로 공연되었다.

송파마을은 경기일원의 상업근거지로, 약 200년전 송파장이 가장 번성하던 때에 산대놀이가 성행하여 오늘날까지 전하는 놀이형태로 완성되었다고 한다. 송파산대놀이는 전체 7과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놀이에 앞서 가면과 의상을 갖추고 음악을 울리면서 공연장소까지 행렬하는 길놀이를 하고, 가면을 배열해 놓고 고사를 지낸다. 놀이내용의 구성이나 과장·춤·탈 등이 양주별산대놀이와 거의 비슷하지만 몇 개의 탈과 춤, 배역이 옛 형태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즉 양주별산대놀이에서는 이미 사라진 화장무 춤사위가 남아 있고, 해산어멈·신할미·무당의 탈이 남아 있어 이들 탈들이 맡은 역이 따로 있다. 바가지, 소나무껍질, 종이 등으로 만든 탈 33개가 사용되며, 놀이형태는 다른 탈춤과 마찬가지로 춤이 주가 되고 재담과 동작이 곁들여진다.

송파산대놀이는 옛 형태를 지닌 민중놀이로 중요무형문화재에 지정되어 있다. (문화재청)

 

모처럼 오후에 잠시 시간이 나서 휘이 둘러본 호수 주변 풍경이다. 

 

 

 

 

 

 

 

 

2012.03.28(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