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순천] 선암사 무우전 담장 따라 선암매가 늘어지게 피었네
질퍽한 흙길을 따라 무우전 앞에 도착하였다.
앞뜰에는 스님 두 분과 일하시는 분들이 다음날 있을 축제 준비 중이었다.
무우전 앞.
비는 내렸지만 매화의 자태는 더없이 고고하다.
무우전과 각황전이 있는 이곳은 태고 종정이 머무시는 곳으로 일반인 출입금지 구역이다.
선암사 무우전(無憂殿)
무우전(수년 전 사진).
근심이 없는 곳이란 뜻을 지닌 전각이다.
각황전은 이 건물 왼쪽에 있는 부엌문을 통해 들어갈 수 있게 되어 있다.
두 곳 모두 일반인 출입금지...
무우전 앞 작은 뜰에선 다음날 있을 홍매화 축제 준비 중...
이번이 5번째 행사인 모양이다.
무우전 앞
피한다고 피했지만 매화를 촬영하는 어느 분의 손이 보인다...
비가 내려 더 운치가 있는 풍경...
무우전 담장과 매화나무의 조화
무우전
무우전 담장을 따라 늘어선 매화나무들...
매화는 이렇게 늘어서 있고 나는 그 길을 따라 걷는다.
잠시 사람들이 빈 틈...
무우전 담장과 매화나무의 조화는 계속된다.
이 길을 더 오르면 운수암을 만나게 된다.
무우전 담장 안을 들여다 본 모습
무우전 담장 안으로 각황전이 보이는 모습 선암사각황전 (仙岩寺覺皇殿)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177호 각황전의 본래 이름은 장육전. 통일신라 경문왕 원년(861)에 다시 지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현종 1년(1660)에 복원하였고, 다시 영조 36년(1760)에 고쳐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출처: 문화재청) 각황전(수년 전 사진). 무우전 부엌을 지나 더 안쪽에 위치한 전각. 오래 땅 속에 묻혀 있던 철불이 발굴되어 이 전각에 모셔져 있다.
처음 지었을 당시 만들었던 철불을 1900년경에 석고로 도색을 하여 모시고 있다.
무우전 담장의 끝무렵쯤에서 담장 안을 들여다 본 모습. 매화 사이로 각황전이 살포시 보인다.
조금 더 오르니 선암사 중수비가 우람하게 서 있다. 운수암은 중수비를 지나쳐서 더 올라가야 된다. 동부도와 북부도 가는 길은 통제 중이었다. 예서 발길을 돌리기로 한다.
돌아내려가며... 왼쪽이 무우전 담장이고, 오른쪽은 응진당, 달마전 구역이다.
진영당과 응진당 담장
무우전 앞 뜰쪽에서 바라본 원통각과 선암고매
무우전 담장과 선암매
[선암사]
전남 순천시 승주읍 죽학리 802
2014.03.29(토)
'방랑, 그 흔적들-국내 > 광주 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순천] 순천만 자연생태관 (0) | 2014.04.24 |
---|---|
[전남 순천] 금전산 금둔사, 순천 금둔사지 삼층석탑과 석조불비상 (0) | 2014.04.24 |
[전남 순천] 납월매로 유명한 금둔사 (0) | 2014.04.23 |
[전남 순천] 선암사 기타 풍경들 (0) | 2014.04.14 |
[전남 순천] 선암매 만나던 날에 비는 내리고... (0) | 2014.04.03 |
[전남 순천] 승선교를 지나 선암사 가는 길 (0) | 2014.04.03 |
[전남 순천] 우중에 꽃절 선암사를 찾다 - 대웅전 주변 (0) | 2014.04.01 |
[전남 순천] 과거와 현재가 함께 하는 곳, 순천 낙안읍성 (順天 樂安邑城) 4 - 민속마을 돌아보기 (0) | 2014.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