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담양] 가사문학의 산실인 담양의 한국가사문학관
소쇄원 방문이 끝나고 이곳 한국가사문학관으로 먼저 왔다.
이곳 역시 방문 시간이 정해져 있는 이유에서였다.
한국가사문학관
조선시대 한문이 주류를 이루던 때에 국문으로도 시를 지었는데,
그중에서도 가사문학이 크게 발전하여 꽃을 피웠다.
이서의 낙지가, 송순의 면앙정가, 정철의 성산별곡·관동별곡·사미인곡·속미인곡,
정식의 축산별곡, 남극엽의 향음주례가·충효가, 유도관의 경술가·사미인곡,
남석하의 백발가·초당춘수곡·사친곡·원유가, 정해정의 석촌별곡·민농가
및 작자미상의 효자가 등 18편의 가사가 전승되고 있어
담양을 가사문학의 산실이라고 부른다.
담양군에서는 이러한 가사문학 관련 문화유산의 전승·보전과 현대적 계승·발전을 위해
1995년부터 가사문학관 건립을 추진하여 2000년 10월에 완공하였다.
가사문학관에는 본관과 부속건물인 자미정·세심정·산방·토산품점·전통찻집 등이 있다.
전시품으로는 가사문학 자료를 비롯하여
송순의 면앙집(傘仰集)과 정철의 송강집(松江集) 및 친필 유묵 등 귀중한 유물이 있다.
문학관 가까이에 있는 식영정·환벽당·소쇄원·송강정·면앙정 등은 호남시단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으며,
이는 한국 가사문학 창작의 밑바탕이 되어 면면히 그 전통을 잇게 하고 있다.
(담양군청 문화관광자료 발췌)
명창 박동실 기념비
춘향가, 심청가, 흥부가 등 오가전집에 능통했으며
국내 최초로 오늘날의 오페라단과 같은 창극단을 만들었던
명창 박동실 선생을 기념하는 비이다.
'이름 모를 소녀', '하얀 나비' 등을 부른 김정호가 그의 외손자란다.
1층 현관에 걸린 송순의 면앙정가가 실린 액자
1층 전시실
소쇄원 풍경 그림
정철의 속미인곡 일부
박인로의 조홍시가
2층 전시실
소쇄원 담장에 새겨진 우암 송시열의 글씨, 오곡문
소쇄사실.
소쇄처사 양산보, 고암 양자징, 지암 양자정, 영주 양천운 등의 저술 및 소쇄원 경영의 사실기.
송시열의 글씨, 소쇄원 내 제월당 현판
소쇄원도.
1755년에 그려진 소쇄원도를 소쇄원사실에 의거하여 서각한 것(백남 나갑 새김)
면앙정 현판. 명필 송수침의 글씨란다.
면앙정 삼언가.
송순이 면앙정에서 지은, 석자씩 여덟줄로 된 한시이다.
면유지 俛有地 (굽어보니 땅이요)
앙유천 仰有天 (우러르니 하늘이라)
정기중 亭其中 (이 가운데 정자 지으니)
흥호연 興浩然 (호연한 흥취 이네)
초풍월 招風月 (풍월을 부르고)
읍산천 揖山川 (산천을 끌어들였으니)
부려장 扶藜杖 (지팡이 짚은들 흠 되랴)
송백년 送百年 (한 백년 살면 되지)
면앙집 속편과 잡가.
면앙집 속편은 면앙집에서 빠진 송순의 시문을 속편으로 엮은 책이고,
잡가는 편자 미상의 필사본 가사집으로 면앙정가 등 가사 19편이 수록되어 있단다.
회방연도.
회방연은 과거 급제 60해가 된 때를 기리는 연회로
송순의 과거 급제 60년을 맞아 제자들이 면앙정에서 큰 축하 잔치를 열고
스승을 태운 가마를 직접 메고 집까지 모셨던 연회란다.
이 자리에는 송강 정철, 기대승, 고경명, 임제 등의 문장가를 비롯하여,
당시 전라감사와 각읍의 수령 등 100여 명이 참석해 축하 연회를 베풀었다고 전해진다.
송강서원 현판.
조선 숙종 때 나라에서 사액한 서원의 현판으로 정철을 제향해 오던 곳.
송강서원은 고종 임금 때 서원 철폐령에 의해 사라졌다.
송강서원 사액축문(賜額祝文)
송강 정철의 시문집인 송강집
송강집
송강별집추록.
송강집에 빠진 송강 정철의 시문을 추가하여 수록한 유고집
백세보중.
상소문, 헌의문 등 송강 정철의 친서를 모아 엮은 유묵집
1층 현관
가사문학관 바깥 마당
사각형의 연못과 둥근 섬...
그리고 물레방아 장식...
자미정
한국가사문학관 입구
찻집(달빛 한 잔)과 관리사무소
찻집(달빛 한 잔)
한국가사문학관 사무소
담쟁이덩굴이 담을 뒤덮고 있는 모습
* 한국가사문학관 위치 : 전남 담양군 남면 지곡리 319
* 문의 전화 : 061-380-3240
2013.09.14(토)
'방랑, 그 흔적들-국내 > 광주 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영광] 화려함의 극치, 불갑사 주변 꽃무릇 2 (0) | 2013.09.26 |
---|---|
[전남 영광] 화려함의 극치, 불갑사 주변 꽃무릇 1 (0) | 2013.09.25 |
[광주광역시] 푸르럼을 사방에 둘렀다는 환벽당 (環碧堂) (0) | 2013.09.25 |
[전남 담양] 송강 문학의 산실인 식영정과 명승 제57호 담양 식영정 일원 (潭陽 息影亭 一圓) (0) | 2013.09.24 |
[전남 담양] 자연과 인공이 멋지게 어우러진 곳, 명승 제40호 담양 소쇄원 (潭陽 瀟灑園) (0) | 2013.09.22 |
[전남 담양] 창평 현령 선정비 총각 (0) | 2013.09.21 |
[전남 담양] 명승 제58호 담양 명옥헌 원림 (潭陽 鳴玉軒 苑林) (0) | 2013.09.18 |
[전남 담양] 정철 가사문학(사미인곡, 속미인곡)의 산실인 담양 송강정 (潭陽 松江亭) (0) | 2013.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