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새로운 건물에 입주한 충주 고구려비 (忠州 高句麗碑)=중원 고구려비
국보 제205호
충북 충주시 가금면 용전리 입석부락 280-11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고구려 석비로, 장수왕이 남한강 유역의 여러 성을 공략하여 개척한 후 세운 기념비로 추정된다. 1979년 입석마을 입구에서 발견되었는데, 오랜 세월이 흐른 탓에 발경 당시 비면이 심하게 마모되어 있었다.
석비는 돌기둥 모양의 자연석을 이용하여 4면에 모두 글을 새겼는데, 그 형태가 만주에 있는 광개토대왕비와 비슷하다. 비문은 심하게 닳아 앞면과 왼쪽 측면 일부만 읽을 수 있는 상태로, 내용 중 처음에 ‘고려대왕(高麗大王)’이라는 글자가 보이는데 여기에서 고려는 고구려를 뜻한다. ‘전부대사자(前部大使者)’·‘제위(諸位)’·‘사자(使者)’ 등 고구려 관직 이름과 광개토대왕 비문에서와 같이 ‘고모루성(古牟婁城)’등의 글자가 보이고, ‘모인삼백(募人三百)’·‘신라토내(新羅土內)’ 등 고구려가 신라를 불렀던 말들이 쓰여 있어 고구려비임을 확인하게 되었다.
고구려 영토의 경계를 표시하는 비로, 백제의 수도인 한성을 함락하고 한반도의 중부지역까지 장악하여 그 영토가 충주지역에까지 확장되었음을 말해준다. 또한 역사적으로 고구려와 신라, 백제 3국의 관계를 밝혀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유일한 고구려비라는 점에서 커다란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문화재청)
< 제1면 >
< 제2면 >
< 제3면 >
< 제4면 >
충주 고구려비 탁본
2012.12.08(토)
'방랑, 그 흔적들-국내 > 대전 충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주] 충주 남한강 주변 설경 (0) | 2012.12.21 |
---|---|
[충주] 국보 제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忠州 塔坪里 七層石塔) (0) | 2012.12.19 |
[충주] 중앙탑공원 충주박물관 주변 설경 (0) | 2012.12.19 |
[충주] 눈 덮인 충주 탄금호 주변 풍경 (0) | 2012.12.14 |
[충주] 충주 고구려비 (忠州 高句麗碑) 전시관 (0) | 2012.12.14 |
[충남 서산] 서산 해미읍성 (瑞山 海美邑城)과 서산해미읍성회화나무 (瑞山海美邑城회화나무) (0) | 2012.10.21 |
[홍성] 홍주목 동헌 안회당 뒤뜰 소나무에서 본 담쟁이덩굴 (0) | 2012.10.16 |
[태안] 잊을 수 없는 안면도 꽃지 일몰 (0) | 2012.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