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대전 충청

[홍성] 사적 제231호 홍성 홍주읍성 (洪城 洪州邑城) - 조양문(동문)

 

[홍성] 사적  제231호 홍성 홍주읍성 (洪城 洪州邑城)

 

홍성읍내에서 하루를 묵었다.

숙소 건물에 식사할 곳이 한 곳 있었으나 마땅치가 않아서

이리저리 물어서 양평해장국을 찾아 한끼 때웠다.

이 지역에서 제법 명성을 얻은 모양인지 아침인데도 사람들이 북적거렸다.

밖으로 나오니 아침부터 햇살이 강렬하다.

눈이 절로 감긴다.

어찌 다닐 것인가!

나다니길 좋아하는 나도 이리 늘어지는데, 같이 간 사람은 또 어떨까~~~ 

더울 땐 답사도 못할 노릇...

다음은 홍주읍성에 대한 문화재청 설명 자료이다.

 

 

충남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200-2

충남 홍성군에 있는 성으로, 길이 약 1,772m의 성벽 중 약 800m의 돌로 쌓은 성벽의 일부분이 남아있다. 처음 지어진 연대는 확실히 알 수 없으며, 『세종실록지리지』에 홍주성의 둘레와 여름과 겨울에도 마르지 않는 샘이 하나 있다는 기록만 있을 뿐이다.

왜구의 침입이 예상되는 고을의 읍성을 새로운 격식에 맞추어 쌓게 되었던 조선 세종 때에 처음 쌓기 시작하여 문종 1년(1451)에 새로 고쳐 쌓았다. 당시 성의 규모는 둘레가 4,856척(약 1.5㎞), 높이는 11척(약 3.3m)이며 문은 4개가 있었고, 여장·적대 등의 여러 시설이 설치되었으며 안에는 우물 2개가 있었다고 한다.

동문인 조양문은 현재까지 남아있고 1975년 복원한 것이다. 아문은 조양문의 문루를 설치할 때 함께 세운 것이며 ‘홍주아문’이란 글씨는 흥선대원군이 직접 썼으나 현재 남아있지 않다. 우리나라 아문 중에서 가장 크고 특이한 형태를 지니며 조선시대 관아의 구조와 형태를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된다. 1905년 을사조약 체결에 반대하여 의병을 일으킨 민종식 등이 이 성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을 공격하여 덕산으로 격퇴시킨 일이 있다.

이 곳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읍성으로 이어졌으며, 조선 초기 새로운 형식에 의해 쌓은 성이 남아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문화재청)

 

 

홍성 홍주읍성 (洪城 洪州邑城) - 조양문(동문)

홍주읍성 동문인 조양문

 

1975년 복원한 것이란다.

 

 

 

 

 

 

 

 


2012.06.1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