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방랑, 그 흔적들-국내/광주 전라

[화순] 천불천탑 화순 운주사지

화순 운주사지(사적 제312호)

 

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용강리 산3 외

도선국사가 하룻밤 사이에 천불천탑을 세웠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는 운주사는 나지막한 야산 분지에 있는 고려시대의 절터이다.

절을 처음 지은 연대는 정확히 알지 못하나, 고려 중기에서 말기까지 매우 번창했던 사찰로 보이며, 15세기 후반에 다시 크게 지어졌다가 정유재란으로 폐찰되었다. 운주사(雲住寺)는 ‘구름이 머무는 곳’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데, ‘배를 움직인다’는 뜻의 운주사(運舟寺)로 불리기도 한다.

현재 돌부처 70구와 석탑 18기만이 남아 있으나, 조선 초기까지는 천 여 구의 불상과 탑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산과 들에 흩어져 있는 70여 구의 돌부처들은, 수 십 ㎝에서 10m 이상의 거대한 돌부처까지 그 크기가 매우 다양하다. 평면적이면서 토속적인 생김새에 어색하고 균형이 잡히지 않은 신체 구조는 고려시대 지방적인 특색을 잘 보여주고 있다.

석탑 또한 그 모양이나 무늬의 표현방식이 매우 독특하여, 3층·5층·7층 등 층수도 다양하다. 둥근 공모양의 원형탑이나 호떡 모양의 돌을 올려놓은 듯한 원판형탑 등 특이한 모양의 탑도 있다. 또한 탑의 표면에 ‘X’, ‘◇’, ‘川’과 같은 기하학 무늬들이 새겨 있어 특이하다.

운주사에는 누운 부처(와불)가 있어 유명하다. 도선이 천불천탑을 하룻밤에 세울 때 맨 마지막으로 와불을 일으켜 세우려고 했는데, 공사에 싫증난 동자승이 닭이 울었다고 거짓말을 하여 불상을 세우지 못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운주사는 특이한 돌부처와 석탑이 모두 한 절 안에 있다는 점에서 천불천탑에 대한 독특한 신앙을 보여주는 좋은 예로서 우리나라 미술사와 불교사 연구에 중요한 곳이다. (문화재청)

 

 

 

(운주사 사이트 자료)

 

 

운주사 일주문

 

운주사 일주문

 

일주문을 지나 왼쪽으로 보이는 석불군

근래의 것이 많이 보인다.

 

 

 

 

 

 

 

 

 

일주문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보물 제796호)은 보수 중이었다.

구층석탑, 오른쪽으로 보이는 석불군과 오층석탑(거지탑)

 

 

오층석탑과 석불군 '가'

 

석불군 '가'

 

석불군 '나'

 

수직문칠층석탑과 석불군 '다'

 

수직문칠층석탑과 석불군 '다'

 

칠층석탑과 광배를 갖춘 불상, 석조불감 등이 보인다.

 

칠층석탑

  

교차문칠층석탑

 

칠층석탑과 쌍교차문칠층석탑

 

광배를 갖춘 불상(가장 왼쪽) 

비로자나부처님의 수인을 하고 있는 사다리꼴형의 판석에 돋을 새김하여 새겼다. 가늘고 길게 솟은 코, 두툼한 입술 크고 긴 귓바퀴가 선명하다. 육계는 솟아 있으며 합장한 수인과 법의 자락은 그저 선만으로 처리되었다. 이러한 광배를 갖춘 불상은 매우 특이한 유형이다. 주변 전체에 동글동글 구름문양의 화염문을 아름답게 음각하였다. 이렇게 화염문을 음각한 정도의 수준이라 한다면 이곳 조성자들이 불교 사상에 정통하였다는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얼굴은 뚜렷하지 않지만 권위나 위압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매우 정겹고 친근감이 가는 모습이다. 발굴 조사 때 조선시대 때의 기와가 많이 출토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이곳에 목조 기와집을 지어 모셨던 것으로 추정된다. (운주사 사이트)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제257호인 화순운주사수직문칠층석탑

운주사 입구를 지나 운주사 구층석탑(보물 제796호) 오른쪽 암반 위에 있다.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

 

 

멀리 왼쪽부터 석조불감 앞 칠층석탑, 석조불감, 원형다층석탑, 지혜당 찻집 앞 탑

 

 

2011.12.28(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