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운주사 칠층석탑(전남 유형문화재 276호)
전남 화순군 도암면 용강리 70-1
정사각형의 기단에 둥그런 원형을 둘러 그 위에 탑을 세웠다. 옥개석(지붕돌)이 육중하고 날렵해 활달한 남성적인 위용이 느껴진다.
기단석을 이렇게 반듯하게 다듬어 이곳으로 운반해 여기 꼭 이 탑을 세워야만 했던 까닭을 생각해보면 운주사 조성자들의 심오한 의도가 궁금해진다. 직선적이고 다소 가파른 처마의 선, 우람한 옥개석의 인상이 신라탑의 원형인 감포 감은사지 석탑과 유형이 닮아서 탑의 형식적 분류상 신라탑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이곳은 예전 백제땅인데 왜 이곳에 신라탑이 함께 조형되었을까 생각해보면 운주사 탑들이 던져주는 의미는 매우 파격적이다. 반듯한 기단부와 우람한 옥개석이 연이어 오른 모습이 야무지고 단단한 사내의 웅혼한 기상이 넘쳐 흐르는 듯 하다.(운주사 사이트 자료)
정사각형의 기단에 둥그런 원형을 둘렀다.
2011.12.28(수)
'방랑, 그 흔적들-국내 > 광주 전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순 운주사 발형다층석탑 (0) | 2012.01.21 |
---|---|
화순운주사석조불감앞칠층석탑 (0) | 2012.01.21 |
화순운주사수직문칠층석탑 (0) | 2012.01.21 |
화순 운주사 쌍교차문 칠층석탑 (0) | 2012.01.21 |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보물 제796호) (0) | 2012.01.21 |
화순 운주사 탐방(거북바위오층칠층석탑, 석불군 '바', 와형석조여래불, 칠성바위와 칠층석탑) (0) | 2012.01.21 |
화순 운주사 탐방(발형다층석탑, 명당탑, 마애여래좌상, 불사바위, 석불군 '마') (0) | 2012.01.21 |
화순 운주사 대웅전과 대웅전 앞 다층석탑 (0) | 2012.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