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국보 제28호 안악3호분 안내 영상 중~안악3호분 속 주인 부부의 모습 - 안내 영상 중~강서대묘 - 널방 벽화의 주제는 사신, 천장부 벽화의 주제는 신선 세계강서대묘 청룡도 (동쪽)강서대묘 백호도 (서쪽)강서대묘 주작도 봉황 암수 한쌍(남쪽) - 문 방향(무덤의 방향이 남쪽)강서대묘 현무도 (북쪽)
부여 출토 그릇 받침양직공도(중국 양나라 원제 때 소역이 외국인 사절을 그림으로 그려 해설한 것)에 나타난 백제 사신의 모습전남 나주, 영암 출토 독널보물 제1845호 사택지적비(백제 의자왕 때의 사택지적이 남긴 비) - 복제품독널
테마전 '영원 불멸의 성찬' - 6세기 신라 무덤 서봉총(노서동 129호분) 재발굴 이야기
서봉총 재발굴 이야기 - 북분 봉분의 크기 37->47m로, 남분 25m신라에서 가장 오래된 상석 발견, 무덤 둘레돌 밖의 제사 흔적 찾아냄.제사용 음식을 담았던 큰 항아리
기마 인물형 토기기마 인물형 토기금 새날개모양 관꾸미개(보물 제630호), 고깔모양 관(국보 제87호)북한산 진흥왕 순수비(국보 제3호. 신라 진흥왕 16년, 555년)북한산 진흥왕 순수비(국보 제3호) - 일부분을 알기 쉽게 표시하여 확대
역사의 길
과거와 미래를 이어주는 가교 역할.
관람객들의 동선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주는 공간,
동서남북의 방향에 구애되지 않고,
1.2.3층의 제한 없이 각 전시실을 손쉽게 오가며 관람을 즐길 수 있다.
역사의 길 1층 전시물들은 석탑 기단부 면돌(팔부중-통일신라), 월광사 원랑선사 탑비(통일신라),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고려).
1층 복도의 벽에 팔부중 전시1층 복도 중간의 월광사 원랑선사 탑비통일신라 후기의 승려인 원랑선사(816∼883)의 행적을 기록한 탑비, 원랑선사가 돌아가신 후 진성여왕 4년(890)에 세워짐.보물 제360호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堤川 月光寺址 圓朗禪師塔碑) - 통일 신라(890년)